저축銀 작년 손실 6,000억…당국 "연체 채권 매각" 압박

[앵커]
저축은행 업권이 지난해 6,000억 원에 달하는 순손실을 기록하면서 9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이번 적자 전환은 부동산 PF 관련 충당금 적립 규모가 크게 늘어난 탓입니다. 이에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연체채권을 정리하는 등 관리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인데요.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매각보다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김도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오늘(2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저축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순손실은 5,559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135%가량 쪼그라들면서 9년 만에 적자를 기록한 겁니다.
연체율도 6.55%로 전년 대비 3.14%포인트 급증했습니다. 전년도 연체율 상승폭과 비교하면 무려 4배 가까이 치솟은 겁니다.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전년도 상승폭의 5배를 뛰어넘는 7.72%를 기록했습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5.01%로 전년 대비 0.27%포인트 소폭 상승했지만, 기업대출 연체율이 8.02%로 전년 대비 5.12%포인트나 급등했습니다.
저축은행업권의 적자 규모가 확대된 주요 원인에는 이자비용 증가와 부동산 PF 관련 충당금을 대폭 늘린 영향이 큽니다.
지난해 이자비용은 5조3,508억원으로 전년 대비 83.3% 증가했습니다. 또 부동산 PF 리스크에 대비한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13.89%로, 법정기준치인 100%를 초과해 적립했습니다.
저축은행 업계는 지난 2011년 저축은행 사태와 비교해 현재는 충분히 관리와 대응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어제 기자간담회를 통해 “자산건전성이 악화했지만, 충당금과 자기자본비율 등을 감안하면 이 정도 충격에 대한 흡수능력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저축은행의 건전성 관리를 위한 연체 채권 매각과 관련해서는 당국과 의견이 엇갈리면서 진통이 예상됩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이 PF 부실채권을 적극적으로 정리하지 않고 있다며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업계는 현재 시장 가격 차이가 크다며 제도적 완충 장치가 선행돼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쎄크 상장…오가노이드사이언스 청약·달바글로벌 등 수요예측
- 한국 주식시장 등지는 외국인…9개월 연속 39조원 팔아치워
- "국장 탈출은 지능순?"…올해 코스피 6% 올랐다
- '리딩금융' KB, '리딩뱅크' 신한銀 품으로…4대 지주 5조 육박 순익
- 'KB·롯데' 카드사 본인확인서비스 잇달아 중단, 왜?
- 우리은행, 美 상호관세 관련 ‘위기기업선제대응 ACT’ 신설
- 교보생명, SBI저축銀 인수 추진…지주사 전환 속도
- 태국 가상은행 인가전 뛰어든 '카뱅'…27년 장벽 허무나
- ‘K패션’ 부흥기…신흥 브랜드 상장 흥행 여부 '주목'
- 우리금융 1분기 순익 6156억원…전년比 25% 감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변 없었던 민주당 호남경선...'어대명' 한 발 다가서
- 2더불어민주당 호남권 경선...이재명 88.69% 압승
- 3“도자기의 색, 이천의 빛” 이천도자기축제 개막
- 4모두를 위한 무장애 관광
- 530일 팡파르…'소리'로 세계를 열다
- 6이창용 "美中 관세협상 안되면 90일 유예 연장돼도 경제비용 커"
- 7대한노인회 남원시지회, 제28회 지회장기 노인게이트볼 대회 성료
- 8한국마사회, 승용마 번식 지원 사업…80두 규모 무상 지원
- 9김해공항~중앙아시아 하늘길 열린다…부산~타슈켄트 6월 취항
- 10"제29회 기장멸치축제 즐기러 오세요"…25~27일 대변항서 축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