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율

  • 최신순
저축銀 부실 PF
저축銀 부실 PF "정리 속도내라" VS "대선까지 버텨보자"
금융당국이 우리 경제 뇌관으로 주시하고 있는 저축은행업계의 부실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정리가 부진한 상황입니다. 당국은 저축은행들의 PF 익스포저(위험 노출) 확대를 우려하며 부실 정리 고삐를 다시 죄는 걸로 보이는데
2025-04-16김도하 기자
신협, 적자전환에 부실채권 눈덩이…출구 없는 PF 리스크
신협, 적자전환에 부실채권 눈덩이…출구 없는 PF 리스크
신용협동조합(신협)의 부동산 PF 부실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습니다. 지난해 적자 전환하고 연체율도 2배 가까이 뛰었는데요. 건설·부동산업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도 커질 것으로 보여 올해 적자 탈출이 쉽지 않을 것
2025-04-15김도하 기자
'PF 적신호' OK저축은행, 몸집 불리기 급급?
'PF 적신호' OK저축은행, 몸집 불리기 급급?
OK금융그룹이 수도권 저축은행 인수를 위해 상상인저축은행과 페퍼저축은행을 눈여겨보고 있는데요. 주력 계열사인 OK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연체율이 10%를 넘기는 등 건전성이 악화하고 있어, 몸집 불리기에 급급한 것 아니냐는
2025-04-10김도하 기자
새마을금고, ‘체질 개선’ 분주…부실 털고 턴어라운드 할까
새마을금고, ‘체질 개선’ 분주…부실 털고 턴어라운드 할까
뱅크런 사태와 부동산 PF 대출 부실로 비상이 걸린 새마을금고가 체질 개선을 위해 고강도 구조개선에 들어갔습니다. 부실 금고를 우량 금고와 신속 합병하고 부실채권 정리를 위한 자산관리회사를 설립하는 등 리스크 관리에
2025-04-04김도하 기자
롯데카드, 실적 부진·MBK 리스크…새 주인 찾기 ‘난망’
롯데카드, 실적 부진·MBK 리스크…새 주인 찾기 ‘난망’
지난해 실적이 반토막 난 롯데카드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 리스크까지 겹치면서 새 주인 찾기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매물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매각 협상이 진행되더라도 제대로 된 몸값을 인정받기가 어려울 것이
2025-04-03김도하 기자
저축은행중앙회장에 오화경 추천 ‘연임 유력’
저축은행중앙회장에 오화경 추천 ‘연임 유력’
오화경 현 저축은행중앙회장이 차기 회장 후보로 단독 추대됐습니다. 오 회장의 연임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저축은행 업계는 리더십 공백 없이 부동산 PF 부실 정리 등 중장기 과제 해결에 연속성을 확보하게 됐습니다. 김도하
2025-03-25김도하 기자
'PF 부실' 저축은행, 2년 연속 적자…구조조정 속도
'PF 부실' 저축은행, 2년 연속 적자…구조조정 속도
저축은행업권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관련 대손충당급 적립 등 영향으로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연체율은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부동산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9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21일 금융감독원
2025-03-21김도하 기자
‘유준원 리스크’에 적기시정조치까지…상상인저축, 새 주인 찾기 난항
‘유준원 리스크’에 적기시정조치까지…상상인저축, 새 주인 찾기 난항
상상인그룹이 보유한 저축은행 2곳이 유준원 대표의 대주주 적격성 문제로 인수합병(M&A) 시장에 떠밀려 나와 있는데요. 부동산 PF 리스크가 확산하면서 부실이 악화하는 가운데 상상인저축은행은 적기시정조치까지 받으면서
2025-03-20김도하 기자
금융위, 상상인저축은행에 '경영개선권고'…페퍼·솔브레인·우리 '유예'
금융위, 상상인저축은행에 '경영개선권고'…페퍼·솔브레인·우리 '유예'
금융위원회가 상상인저축은행에 대해 경영개선권고를 부과했다. 페퍼·우리·솔브레인저축은행에 대해서는 적기시정조치를 유예했다. 금융위원회는 19일 정례회의를 열고 이 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적기시정조치
2025-03-19김도하 기자
지난해 카드사 순익 0.3%↑…연체율 10년 만에 최고치
지난해 카드사 순익 0.3%↑…연체율 10년 만에 최고치
지난해 카드사들의 순이익이 0.3%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연체율은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이 19일 발표한 2024년 여신전문금융회사 영업실적(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업 카드사의 당기순이익은 2조5910억
2025-03-19김도하 기자
'부동산PF 뇌관' 저축銀, 적기시정조치 촉각…10위권도 위태
'부동산PF 뇌관' 저축銀, 적기시정조치 촉각…10위권도 위태
건설사들이 ‘줄도산’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확산하면서 부동산 PF 중 고위험 여신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의 부실 위험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는데요. 금융당국이 적기시정조치로 부실 저축은행에 대한 압박에 나선 가운
2025-03-18김도하 기자
현대커머셜, 지난해 당기순익 1934억원…전년 대비 45.2% 증가
현대커머셜, 지난해 당기순익 1934억원…전년 대비 45.2% 증가
현대커머셜은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1934억원으로 전년 대비 45.2% 증가했다고 5일 밝혔다. 매출은 1조424억원으로 전년 대비 43.1% 늘었고, 영업이익은 1443억원으로 75.1% 성장했다. 총 자산은 13조1348억원으로, 전년(11조8268억원) 대비
2025-03-05김도하 기자
현대카드, 지난해 순이익 3164억원…전년比 19.4%↑
현대카드, 지난해 순이익 3164억원…전년比 19.4%↑
현대카드는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19.4% 성장한 3164억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영업수익은 3조9638억원으로 전년 대비 22.9%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4061억원으로 16.0% 늘어났다. 여신금융협회 공시 기준 지난해 신용판
2025-03-05김도하 기자
롯데카드, 팩토링채권 거액 연체…건전성 먹구름
롯데카드, 팩토링채권 거액 연체…건전성 먹구름
2년 만에 인수합병(M&A) 시장에 나온 롯데카드에서 거액의 팩토링 연체가 발생하면서 건전성 우려가 나오고 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롯데카드가 보유한 팩토링 채권에서 거액의 연체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롯데카드
2025-03-03김도하 기자
신협 부실채권 전문 자회사에 김상범 대표 취임
신협 부실채권 전문 자회사에 김상범 대표 취임
신협중앙회 자회사인 'KCU NPL 대부'가 지난 13일 대표이사 이·취임식을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김상범 신임 대표이사는 취임사에서 "가능한 범위 내에서 회원조합을 최대한 지원할 수 있도록 운영할 것"이라며 "연체율을
2025-02-14김도하 기자
신한카드, 지난해 순익 5721억원…전년比 7.8% 감소
신한카드, 지난해 순익 5721억원…전년比 7.8% 감소
신한카드는 지난해 전년 대비 7.8% 감소한 572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당기 순익은 194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88.8% 줄었다. 신한카드는 희망퇴직과 법인세 등 일회성 요인과 대손비용 상승 등에 따른 비용 반
2025-02-10김도하 기자
삼성카드, 지난해 순익 6646억원…전년比 9.1% 증가
삼성카드, 지난해 순익 6646억원…전년比 9.1% 증가
삼성카드는 지난해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9.1% 증가한 6646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9.3% 증가한 8854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액은 4조3832억원으로 전년 대비 9.5% 올랐다
2025-02-07김도하 기자
신한카드, 지난해 순익 5721억…전년比 7.8% 감소
신한카드, 지난해 순익 5721억…전년比 7.8% 감소
신한카드는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5721억원으로, 전년 대비 7.8% 감소했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 4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분기 대비 88.8% 급감한 194억원을 기록했다. 신한카드는 신용판매와 할부, 오토리스 등 영업수익은 증가했으
2025-02-07김도하 기자
부동산 PF '위태'…올해도 저축은행 건전성 고삐
부동산 PF '위태'…올해도 저축은행 건전성 고삐
부동산 시장 침체가 본격화되면서 고위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비율이 높은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부실 리스크가 커지고 있습니다. 저축은행의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 비율이 빠르게 상승하는 등 부실 위험이 커지
2025-02-03김도하 기자
금융당국, 가계 대출 증가세 '고삐'…올해 은행 대출 어렵다
금융당국, 가계 대출 증가세 '고삐'…올해 은행 대출 어렵다
올해 시중은행서 가계 대출을 받기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금융당국이 지난해보다 정책대출 외 자체 가계대출 증가율을 낮게 관리하겠다고 밝히면서다. 다만 지방지역 대출에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지난해
2025-02-02김보연 기자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