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카드사 연체율 '마의 2%' 돌파…업계 건전성 '빨간불'

금융·증권 입력 2025-05-21 18:49:04 수정 2025-05-21 18:49:04 김도하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주요 카드사 연체율 ‘마의 2%’ 돌파…업계 건전성 ‘빨간불’

[앵커]
국내 카드사들의 연체율이 줄줄이 2%를 넘기며 건전성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특히 우리카드는 업계에서 가장 높은 연체율을 기록하면서 카드론 성장의 그늘이 드러났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도하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1분기 말 기준 우리카드의 실질 연체율은 2.62%.

국내 8개 전업 카드사 중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지난해 말(2.15%)보다 무려 0.47%포인트나 급등한 상황.

같은 기간 하나카드(2.44%)와 BC카드(2.26%), KB국민카드(2.02%) 등 다른 카드사들도 줄줄이 ’마의 2%’를 넘겼습니다. 통상 카드업계에서는 실질 연체율이 2%를 넘을 경우 위험 신호로 감지합니다.

연체율이 오르면서 우리카드의 대손비용도 1300억원까지 증가했습니다.

전체 카드업계의 대손비용은 1조3000억원대로, 1년 전보다 60% 넘게 늘어난 실정입니다.

문제는 이 같은 리스크가 수익 중심의 경영 전략 속에서 드러났다는 점입니다.

진성원 우리카드 대표는 지난해 말 취임 이후부터 독자가맹점 확대와 비용 효율화 전략을 강조해 왔습니다.

그 결과 올해 받은 첫 성적표에서 순이익 330억원, 총자산순이익률(ROA) 0.81%로 수익성 지표는 개선됐습니다. 

6개 카드사(삼성·신한·KB국민·현대·하나·우리)의 1분기 순이익(5536억원)이 전년 동기(6550억원) 대비 15% 넘게 쪼그라든 상황에서, 우리카드는 두 자릿수의 가장 높은 순이익 증가율을 기록한 겁니다.

하지만 카드론과 같은 고위험 자산 확대에 따른 기초체력 약화가 결국 연체율 급등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입니다.

전문가들은 "카드사가 늘어난 부실자산을 매각하는 등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오는 7월부터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 3단계 규제가 시행되면서 카드사들의 대출 심사도 더 까다로워질 전망입니다.

우리카드 역시 디지털 마케팅과 가맹점 확대 전략 못지않게 기초 건전성 회복에 대한 전략적 보완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도하 기자

itsdoha.kim@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