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63% "환율 1,300원대 사업계획…환율 대책 시급"
경제·산업
입력 2025-01-09 08:44:56
수정 2025-01-09 08:44:56
김혜영 기자
0개

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5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요 대기업의 환율 영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들이 올해 사업계획을 수립하며 적용한 원달러 환율은 1350~1400원 범위가 33.3%로 가장 많았다. 1,300~1,350원 범위는 29.6%로 두 번째로 많았다. 주요 대기업 10곳 중 6곳은 올해 사업계획에 1,300원대 환율을 적용한 셈이다. 현재 수준인 1,450∼1,500원 범위로 환율을 적용한 기업은 11.1%에 불과했다.
각 기업은 사업계획 수립 시 적용한 환율과 실제 환율의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충격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원달러 환율은 작년 12월 초 비상계엄 사태로 1,430원대까지 오른 뒤, 18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025년 금리인하 횟수를 조정하겠다고 발표하며 1,450원대를 돌파했다. 이후 27일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 표결 직후 1,470원을 넘겼다가 현재 1,450원대에 머무르고 있다.
환율 상승으로 국내 대기업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원자재 및 부품 조달비용 증가'(3.70점)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혔다. 이어 '해외투자 비용증가'(3.30점), '수입결제시 환차손 발생'(3.15점), '외화차입금 상환부담 증가(2.93점)' 순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전통적으로 환율 상승은 수출 주도형인 우리 경제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엔 해외 현지생산 비중이 증가하고 환헤지(환 변동 위험 회피) 달러화 결제가 늘어나면서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기업들 상당수는 올 상반기 환율 수준이 지속될 것이며 '국내 정치 불안'과 '트럼프 정부의 무역정책'이 불안 요소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기업들은 환율 상승에 대한 정책과제로 '기업에 대한 외환 유동성 지원 확대'(63%)와 '긴급시 외환시장 안정조치 시행'(63%)을 가장 많이 꼽았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기업 유동성 지원 확대와 함께 우리 경제의 과감한 체질개선과 구조적 전환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밝혔다./hyk@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올해 부동산 키워드 ‘학세권’…동탄 꿈의숲 자연앤데시앙 주목
- ‘의정부 롯데캐슬 나리벡시티’ 계약금 5% 등 눈길
- 제네시스, 英 테이트 모던 파트너십 전시 개막
- 진에어, 5월 가정의 달 맞이 '매진 특가' 오픈
- 실수요 선호도 집중…운정역 더써밋 ‘84타입 단독’ 눈길
- 금호타이어, CJ 대한통운과 맞손…모빌리티 서비스 강화
- 금양인터내셔날, 스페인 와이너리 '카사 로호' 출시
- SKT, '유심 대란' 가입자 분통…"이틀만에 7만명 이탈"
- SK바이오팜, 美학회서 차세대 항암제 연구 성과 발표
- 팅크웨어, 2세대 전자식 선쉐이드 ‘칼트윈 액티브 플러스’ 네이버 쇼핑라이브 진행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올해 부동산 키워드 ‘학세권’…동탄 꿈의숲 자연앤데시앙 주목
- 2‘의정부 롯데캐슬 나리벡시티’ 계약금 5% 등 눈길
- 3금융당국·업계, SKT 유심정보 유출사고 긴급회의…비상대응본부 운영
- 4제네시스, 英 테이트 모던 파트너십 전시 개막
- 5진에어, 5월 가정의 달 맞이 '매진 특가' 오픈
- 6실수요 선호도 집중…운정역 더써밋 ‘84타입 단독’ 눈길
- 7금호타이어, CJ 대한통운과 맞손…모빌리티 서비스 강화
- 8금양인터내셔날, 스페인 와이너리 '카사 로호' 출시
- 9SKT, '유심 대란' 가입자 분통…"이틀만에 7만명 이탈"
- 10SK바이오팜, 美학회서 차세대 항암제 연구 성과 발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