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작년 해외 생산 368만대…‘4년 만 역대 최다’

[서울경제TV=김효진기자] 현대차그룹이 작년 한 해 역대 최다 해외 생산 기록을 썼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해외에서 368만대가량의 완성차를 만들었다 이는 4년 만에 역대 최다이다.
미국, 인도, 유럽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산량을 늘렸지만, 중국에서는 2016년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26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현대차와 기아가 해외 생산 기지 13곳에서 만든 완성차는 모두 367만8,831대다.
현대차는 미국과 인도, 중국, 튀르키예, 체코, 브라질,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8곳에서 224만3,069대를, 기아는 미국과 중국, 슬로바키아, 멕시코, 인도 등 5곳에서 143만5,762대를 각각 생산했다.
지난해 두 회사의 생산량 합산 수치는 2022년 357만4,796대와 비교해 2.9% 증가했다. 동시에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컸다.
현대차그룹은 핵심 신흥시장인 인도와 튀르키예, 체코, 슬로바키아자동차 선진시장인 미국에서 코로나 이후 생산을 늘려왔다.
특히 인도에서는 작년 한 해 다른 곳보다 많은 108만4,878대를 생산했다. 이는 인도에서 기록한 역대 최다 연간 생산량이기도 하다.
이어 미국 72만7,000대, 중국 39만4,249대, 슬로바키아 35만224대, 체코 34만500대, 멕시코 25만6,000대, 튀르키예 24만2,100대, 브라질 20만4,300대, 인도네시아 7만9,580대 등의 순이다.
슬로바키아와 멕시코에서는 기아만이, 체코와 튀르키예, 브라질, 인도네시아에서는 현대차만이 완성차 생산 공장을 가동 중이다.
미국에서는 2016년 74만9,120대 이후 7년 만에 최다 연간 생산량을 보인 반면, 중국에서 감소세가 두드러진 점이 눈에 띈다.
특히 중국 내 2016년 양사의 합산 생산량은 182만9,922대에 달했다.
이후 매년 줄다가 작년에는 40만대도 넘지 못했다. 2022년 41만2,333대보다 1만8,000대 이상 적은 수치다.
현대차는 중국 내 사업 구조 개선을 위해 다각적으로 사업 효율화를 추진 중이다. 중국 현지에서 판매량 증가보다는 고정 비용 및 손실 감소에 집중하는 것이다.
중국 진출 이후 5곳에 달했던 현대차 생산 거점은 현재 3곳으로 줄었다. 현대차는 향후 창저우 공장을 매각할 방침이다.
현대차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생산 거점을 뒀던 러시아에서는 작년에 완성차가 한대도 나오지 못했다. 현대차는 러시아에 2012년부터 10년간 매년 20만대 이상을 꾸준히 만들었지만, 2022년 4만대 수준으로 급격히 줄어든 뒤 작년에는 생산량 자체가 없었다.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벌이는 러시아 내 판매 부진에 그해 3월부터 현대차가 현지 생산을 중단한 데 따른 것이다. 현대차의 러시아 공장은 지난달 러시아 업체에 매각됐다.
이밖에 싱가포르에서는 현대차가 처음으로 595대를 생산했다.
현대차는 지난해 미래 모빌리티를 연구하고 생산, 실증하는 신개념 ‘스마트 도심형 모빌리티 허브’인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를 구축해 아이오닉5와 자율주행 로보택시를 만들어 일부는 실험적으로 운용 중이다.
현대차와 기아의 작년 수치에는 베트남 등에서 운영 중인 KD 공장 생산량은 빠져 있어 이를 포함하면 전체 생산량은 더 늘어날 수 있다. /hyojean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LG엔솔, 프랑스에 배터리 재활용 합작법인 설립
- 두 달 만에 돌아온 딥시크…“안심하긴 이르다”
- 현대오토에버, 수익성 ‘뚝’…‘홀로서기’ 과제
- ‘적자 전환’ 호텔신라, 구조조정·신사업…돌파구 마련 분주
- LG유플러스, 파주에 초대형 AIDC 구축…6156억 투자
- SKT, 가입자이탈·비용부담·집단소송 ‘진퇴양난’
- LG화학, 水처리 사업 11년만 철수…1.3兆에 매각 추진
- SKT, '유심 대란'…내달 중순부터 ‘유심 초기화’ 도입
- 한전, LNG 발전용 이산화탄소 포집 실증플랜트 준공
- 애경산업, 1분기 영업이익 60억원…전년 동기比 63%↓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 미디어아트전시관 '피오리움'…30일 개관
- 2남원시, 국악와인열차 타고 '남원 여행'…상반기 2,600명 유치
- 3남원시 광한서로, 보행환경 조성사업으로 '남원 품은 거리로 변화'
- 4남원시, 춘향제 기간 '공영주차장 59개소' 전면 무료 개방
- 5순창새마을금고, '전북새마을금고 경영평가 연도대상' 우수상 수상
- 6순창군, 5월 한 달간 '순창사랑상품권' 구매·적립 한도 상향 운영
- 7남원시의회, '신재생 에너지 자립도시 건설로 시민의 노후가 행복한 연구회' 발족
- 8서부지방산림청, 인구문제 개선 위한 '릴레이 캠페인' 참여
- 9고창군, 지방소멸대응기금 276억 원 투입 '청년 위한 정주 생태계 조성'
- 10BPA, 부산항 신항 내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들어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