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자원연, 동해 울릉분지 국제공동해양시추 유치…대한민국 해저지질연구분야 위상↑
울릉분지 IODP 과학시추 통해 약 500억원의 시추비용 절감 효과

[서울경제TV 강원=강원순 기자] 지난 20년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수행해온 동해 해저 지구물리탐사 연구의 결실이 ‘동해 울릉분지 국제공동해양시추 유치’로 맺어졌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지난 2월 8일, 국제공동해양시추프로그램 사무국을 통해 ‘동해 울릉분지 IODP 과학시추(이하 ’IODP 과학시추’)‘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IODP는(International Ocean Discovery Program) 26개국 공동 참여로 전 대양 대상 시추코어를 획, 분석으로 지구상에서 발생하는 여러 지구과학분야의 이슈를 해결하는 국제 공동연구 프로그램이다.
울릉분지는 북위 36도52분~37도22분, 동경 130도~130도54분 사이에 위치한 해저 분지를 가리키는 지명으로 2005년 12월 7일 해양수산부에 의해 고지됐다.
이번 시추 유치 성공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주도로 지난 1997년 IODP 프로그램에 참여 후, 우리나라에서 유치한 첫 번째 대형프로젝트로써 해양과학사 및 학술적 매우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 받았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이번 IODP 과학시추 유치를 통해 울릉분지의 해저지질 특성 확인과 기후변화 및 가스하이드레이트 기인 해저사태의 원인규명 등 자연재해 이슈 해결을 위한 연구를 본격화한다.
최근 통가 해저화산 폭발 등 기후변화로 인한 해저 지질재해의 발생 가능성과 원인 분석 연구를 통해 자연재해 예측을 위한 과학적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2024년 운항 예정인 최첨단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를 활용해 심해 부존자원 탐사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울릉분지 IODP 과학시추에 참여하는 전세계 IODP 승선 연구자들은 모든 연구보고서에 ‘울릉분지’의 지명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특히 과학자들에게 ‘쓰시마분지’로 불리는 ‘울릉분지’의 국제적·공식적인 지명 확립은 물론, ‘일본해(Japan sea)’가 아닌 ‘동해(East Sea)’ 표기 증가의 효과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평구 원장은 “선진 26개국이 참여하는 울릉분지 IODP 과학시추를 통해 대한민국의 해저지질연구분야 위상이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하며, “동해 해저 자원 개발은 물론 동아시아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울릉분지 IODP 과학시추를 통해 우리나라는 약 500억원의 시추비용 절감효과와 시추 일정은 대서양 시추를 마치는 2024년 이후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k1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제95회 춘향제 DAY 2][포토] 춘향제 개막 '불꽃놀이'
- [제95회 춘향제 DAY 2][포토] '춘향의 소리, 세상을 열다'…화려한 개막식
- [제95회 춘향제 DAY 2][포토] 남원국악예고 창작뮤지컬 '춘향'
- [제95회 춘향제 DAY 2][포토] '워너비 모델클럽'의 패션쇼
- [심우일의 인생한편] 김형주 감독의 '승부'…두 수로 시작되는 바둑의 완성
- '2025년 기장시장 한마당 잔치' 3일 개막
- 고창군산림조합, 가정의 달 맞아 고창군에 원목효도의자 100개 기증
- 서거석 전북자치도교육감 “난치병 학생 건강한 학교생활 지원”
- 완주 삼례문화예술촌, 6일 어린이 잔치 개최
- 고창군, 2025 ‘전북특별자치도민·장애인체육대회’ 상징물 최종 선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