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자원연,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 건조사업 강재절단식(Steel Cutting) 가져
탐해3호, 국내 최초 6,000톤급 고성능 3D/4D 물리탐사연구선… 대한민국 해저 에너지자원 탐사

[서울경제TV 강원=강원순 기자] 전 세계 바다를 누비며 대한민국의 해저 에너지자원을 탐사할 6,000톤급 고성능 3D/4D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가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탐해3호 주관기관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건조사인 ㈜한진중공업은 지난 2일, 부산영도조선소에서 ‘탐해3호 건조사업 강재절단식(Steel Cutting)’을 가졌다고 3일 밝혔다.
국내 최초의 6,000톤급 고성능 3D/4D 다목적 해저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는 지난 1월 28일 계약체결 이후, 실시설계를 거쳐 건조사 한진중공업의 영도조선소에서 건조와 시운전을 마치고, 2024년에 공식 취항할 예정이다.
이번에 건조되는 ‘탐해3호’는 기존 ‘탐해2호’ 대비 규모가 커지고(2천톤급 → 6천톤급) 내빙등급 적용으로 국내 대륙붕은 물론 극지 및 대양으로 탐사범위가 확대된다.
특히, 기존 탐해 2호보다 4배 넓은 면적을 깊고 정밀하게 탐사할 수 있는 6Km 길이의 탄성파 수신 스트리머 8조를 탑재한다. 또한 시간에 따른 해저 지층의 변화를 탐지하고 예측하는 4D 모니터링 기술이 적용돼 해저자원 탐사의 효율성 및 정밀성이 크게 높아진다.
주관기관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탐해3호’에 적용되는 신기술들을 통해 해저자원 개발뿐만 아니라 해저단층의 조사․분석을 통한 해저지진 조사대비, 원전 등 위험시설 입지 결정, CO2 지중저장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계획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김광은 원장 직무대행은 ”탐해3호가 건조되면 전 세계 모든 해역에서 대한민국의 자주적인 석유가스자원 탐사와 해저지질 및 지구물리탐사가 가능해진다”고 말하며, “대한민국 해저에너지자원 탐사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최첨단 K-물리탐사연구선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탐해3호의 건조가 완료되면 대륙붕 및 극지로의 해저자원개발의 영역을 넓혀 우리나라 해저자원탐사의 기술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k1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제95회 춘향제 DAY 2][포토] 춘향제 개막 '불꽃놀이'
- [제95회 춘향제 DAY 2][포토] '춘향의 소리, 세상을 열다'…화려한 개막식
- [제95회 춘향제 DAY 2][포토] 남원국악예고 창작뮤지컬 '춘향'
- [제95회 춘향제 DAY 2][포토] '워너비 모델클럽'의 패션쇼
- [심우일의 인생한편] 김형주 감독의 '승부'…두 수로 시작되는 바둑의 완성
- '2025년 기장시장 한마당 잔치' 3일 개막
- 고창군산림조합, 가정의 달 맞아 고창군에 원목효도의자 100개 기증
- 서거석 전북자치도교육감 “난치병 학생 건강한 학교생활 지원”
- 완주 삼례문화예술촌, 6일 어린이 잔치 개최
- 고창군, 2025 ‘전북특별자치도민·장애인체육대회’ 상징물 최종 선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