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정비 양극화…삼성 ‘5조’·현엔·SK ‘제로’
경제·산업
입력 2025-05-12 17:35:52
수정 2025-05-12 19:25:35
이지영 기자
0개

올해 들어 국내 도급순위 상위 10개 건설사들의 도시정비사업 수주 실적이 14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작년 수주액의 절반가량을 따낸 건데요. 다만 건설사들 간 실적 차이가 극명하게 갈리며, 수주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모습입니다. 이지영 기잡니다.
[기자]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국내 도급순위 10대 건설사의 도시정비사업 수주액은 총 14조7000억 원.
지난해 연간 수주액(27조9701억원)의 절반을 넘겼습니다.
올해 들어 지금까지 도시정비 수주액이 가장 높은 곳은 삼성물산입니다.
한남4구역 재개발, 성남 은행주공, 장위8구역 등 1조 원이 넘는 대형 사업장을 잇달아 수주하며, 수주액 5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이어 롯데건설(2조5354억원), GS건설(2조1949억원), 포스코이앤씨(1조4532억원)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현대엔지니어링과 SK에코플랜트는 도시정비수주 ‘제로’의 실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해 총 1조5000억 원가량을 수주했지만, 올해는 아직 단 한 건도 따내지 못했습니다.
SK에코플랜트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지난해 약 1조3000억원의 수주고를 올렸지만, 올해는 잠잠한 모습입니다.
대신 반도체와 폐기물처리 등 신사업으로 눈길을 돌린 분위깁니다.
양사 모두 2분기 이후부터 선별 수주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전략.
압구정, 여의도, 성수동 등 ‘돈 되는’ 대형 단지들은 공략한다는 계획인데, 이런 곳들은 단순한 가격 경쟁보다 브랜드 파워, 이행 공약, 시공 경험 등이 표심을 이끄는 만큼 건설사간 수주 경쟁이 치열할 전망입니다.
서울경제TV 이지영입니다. /easy@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MBK "한화 지분 헐값 처분, 1000억대 손해 봐"…고려아연 "억측"
- 구글, 잇단 사법 리스크…실적 타격 ‘어쩌나’
- 생존 위기 몰린 석화업계…‘4사4색’ 고비 넘기
- SKT, 1분기 ‘선방’…“2분기 해킹 여파 본격화”
- HMM, 영구채 완전 청산…새 주인 찾기 ‘잰걸음’
- 한국MSD,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20곳과 기술이전 등 파트너십 체결
- 감동공장, AI로 제작 시간 40% 단축…글로벌 교육 시장 진출 속도
- 마드라스체크, 액션파워와 MOU 체결…"AI 음성인식 기술 협업"
- 진에어, 임직원 자녀 초청 '안전 체험' 실시
- 중진공, FITI 손잡고 중소벤처기업 해외 시험인증 부담 던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기도, 우기대비 "264건 안전 지적사항 통보"
- 2조용익 부천시장, 고향사랑기부제 고액 기부에 감사
- 3경기도, "평택시 종합감사 실시"
- 4‘태권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협력 회의 열려
- 5부산교육청, 유치원 교원·보육 교직원 전문성 강화 나서
- 6기장군, 도서관 지혜학교 '길 위의 인문학' 공모 선정돼
- 7하이에스트-CS관광호텔-아시아문화콘텐츠개발원, 삼자 업무협약
- 8MBK "한화 지분 헐값 처분, 1000억대 손해 봐"…고려아연 "억측"
- 9전교조 광주지부, 미래세대 위한 5⋅18민주화운동 수업 제안
- 10‘통합 30주년’ 맞은 사천시…‘사천 방문의 해’ 선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