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AI 안전 이니셔티브’ 구축…"AI 리스크 최소화"
경제·산업
입력 2024-10-23 09:39:07
수정 2024-10-23 09:39:07
김혜영 기자
0개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 카카오는 AI 기술 개발과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사전에 식별하고, 이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정의한 리스크 관리 체계인 ‘Kakao AI Safety Initiative(이하 Kakao ASI)’를 구축했다고 23일 밝혔다.
Kakao ASI는 AI 기술 개발 및 운영 상의 위험 발생을 최소화하고, 안전하고 윤리적인 AI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종합 지침이다. 특히, 기술의 설계부터 개발, 테스트, 배포, 모니터링 및 업데이트 등 AI 시스템의 전 생애주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에 선제적인 대응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AI와 인간이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리스크를 폭넓게 관리하며, 인간의 부주의나 실수로 발생할 수 있는 영역까지 관리 범위를 포괄적으로 지정했다.
Kakao ASI는 ▲Kakao AI 윤리 원칙 ▲리스크 관리 사이클 ▲AI 리스크 거버넌스라는 3가지 핵심요소로 구성된다. ‘Kakao AI 윤리 원칙’은 지난2023년 3월 발표한 ‘카카오 그룹의 책임 있는 AI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하며, 사회 윤리, 포용성, 투명성, 프라이버시, 이용자 보호 등 원칙을 포함한다. 개발자와 사용자를 대상으로 윤리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리스크 관리 사이클’은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한 접근법으로, 식별-평가-대응의 순환 단계로 구성된다. AI 기술의 비윤리, 불완전 등을 최소화하고,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사이클은 AI 시스템의 전체 수명주기에 걸쳐 반복적으로 적용된다.
‘AI 리스크 거버넌스’는 AI 시스템의 개발, 배포, 사용 등을 관리하고 감독하는 의사 결정 체계를 뜻한다. 조직 내 정책, 절차, 책임 구조 및 외부 규제와의 조화를 포함하며, 거버넌스 체계 내에서 관련 리스크들을 다각도로 검토하게 된다. Kakao ASI 거버넌스는 AI Safety, 전사 리스크 관리 전담 조직인ERM 위원회, 최고 의사결정 기구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카카오는 Kakao ASI 구축 이후에도 AI 기술 개발과 운영 과정에서 발견되는 리스크를 신속하게 식별 및 대응하고, 지속적으로 체계 고도화를 이어갈 계획이다. /hyk@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롯데건설, 2025년 우수 파트너사 시상식 개최
- 조현상 HS효성 부회장, 캐나다 제2차 ABAC 회의 참석
- 한국교육시설안전원, ‘우리가 바라는 안전한 학교’ 공모전 개최
- LG화학, 1분기 영업익 4470억원…흑자 전환
- 동성케미컬, 인니에 동남아 최고 수준 글로벌 PU 허브 준공
- 대한항공, 부천대장에 1.2조 규모 ‘미래 모빌리티 기지’ 건설
- 중진공, 개인정보 보호수준 평가 3년 연속 ‘S등급’
- 네이버, 제21대 대통령 선거 특별페이지 선봬
- 공영홈쇼핑, 내수 활성화 위해 ‘5월 동행축제’ 동참
- 다음, 콘텐츠 큐레이션 강화한 2차 모바일 앱 개편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롯데건설, 2025년 우수 파트너사 시상식 개최
- 2조현상 HS효성 부회장, 캐나다 제2차 ABAC 회의 참석
- 3한국교육시설안전원, ‘우리가 바라는 안전한 학교’ 공모전 개최
- 4LG화학, 1분기 영업익 4470억원…흑자 전환
- 5동성케미컬, 인니에 동남아 최고 수준 글로벌 PU 허브 준공
- 6보성군, 통합축제 맞아 공공배달앱 ‘먹깨비’ 할인
- 7대한항공, 부천대장에 1.2조 규모 ‘미래 모빌리티 기지’ 건설
- 8이상진 목포시장 권한대행, 지역 현안사업 해결 위해 중앙부처 방문
- 9'이가탄' 제조사 명인제약, 코스피 상장 예심 신청
- 10중진공, 개인정보 보호수준 평가 3년 연속 ‘S등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