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동나비엔,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 美 시장 첫 출하
“북미 난방 시장 공략 본격화”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경동나비엔은 현지시간 13일 미국 시장에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를 첫 출하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를 통해 현재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콘덴싱 온수기 및 보일러에 더해 북미 메인 난방 시장인 ‘퍼네스’에 진입하며, 글로벌 냉난방공조(HVAC) 시장 진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북미 지역의 주된 난방 방식인 ‘퍼네스(Furnace)’는 시장 규모가 연간 470만대로, 경동나비엔이 선도하고 있는 콘덴싱 온수기 시장의 약 5배 이상에 달한다. 온도가 높은 연소 배기가스로 공기를 가열해 실내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우리나라 호텔 등 대형 숙박업소의 난방 방식과 유사하다.
온수로 바닥을 데우는 보일러와 달리 공기를 직접 가열하기 때문에 매우 건조하고, 실내 온도의 편차가 커서 난방의 쾌적성이 떨어진다. 또한, 불완전연소 등으로 유해가스가 공기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위험성도 있다.
경동나비엔이 이번에 출하한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는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콘덴싱 기술력과 온수 기술을 접목,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한 프리미엄 제품이다. 물을 먼저 데우고 이를 이용해 공기를 따뜻하게 해 실내로 공급하기 때문에 공기가 건조하지 않다.
특히, 물의 온도를 조절해 정밀하게 실내 온도를 구현하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인 난방을 제공한다. 또한, 보일러부와 송풍부를 분리해 유해가스의 실내 유입을 방지하여 안전 문제를 해결했다. 이외에도 저진동 설계를 적용해 소음을 낮춰 더욱 쾌적한 생활환경을 선사한다.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 NPF700 이미지. [사진=경동나비엔]
경동나비엔의 ‘콘덴싱’ 기술이 적용돼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점도 차별화된다. 질소산화물과 이산화탄소 저감에도 효과적이어서 친환경 정책을 강화하고 있는 미국에서 큰 호응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업계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일반 퍼네스와 콘덴싱 퍼네스의 시장 비율은 6대 4 정도이지만, 콘덴싱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경동나비엔은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 외에도 최신형 인버터 압축기를 적용한 ‘히트펌프’를 출시해 북미 냉난방공조 시장 공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와 연계해 겨울에는 난방, 여름에는 냉방 등 통합적인 냉난방공조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소비자는 온수는 물론 냉난방까지 경동나비엔의 통합 서비스를 누릴 수 있어 생활의 편의성이 한층 더 높아질 전망이다.
김용범 경동나비엔 영업마케팅 총괄임원은 “콘덴싱 순간식 온수기로 북미에서 성공신화를 썼던 경동나비엔이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로 북미 난방 시장에 새로운 도전의 서막을 올렸다“라며, “이번 출하를 시작으로 북미 메인 난방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여 나가며 글로벌 냉난방공조 시장 공략의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SKT, 신규 가입 중단…“유심 해킹 공포 과도”
- “알바몬도 털렸다”…이력서 정보 2만 건 유출
- 현대차 아이오닉5, 美 IRA 세제 혜택 받는다
- 26兆 체코 원전 수주 낭보…두산·대우 등 동반 진출
- 대명소노, 에어프레미아 지분 타이어뱅크에 매각
- [위클리비즈] 경동시장 ‘흑돼지 두루치기’…GS25에서 즐긴다
- GM 한국사업장, 4월 4만1644대 판매…전년比 6.3%↓
- 한국타이어, 국내 프로야구 팬 대상 ‘스트라이크존’ 팝업 이벤트
- KGM, 지난달 총 8932대 판매…전년比 8.4%↓
- 르노코리아, 지난달 1만427대 판매…전년比 1.4%↓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