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켐,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기업 '티디엘' 인수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2차전지 전해액 전문기업 엔켐이 ‘티디엘(TDL)’의 지분 54.56%를 198억원에 취득한다고 1일 밝혔다. 이를 통해, 엔켐은 전고체 배터리 분야의 추가 기술력 확보와 이를 활용한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으로 사업영역을 다각화한다는 방침이다.
티디엘은 지난 2004년 설립된 전고체 배터리 및 전고체 배터리용 전해질 개발 전문 벤처기업이다. 엔켐은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가 가능한 기술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티디엘 인수로 시장에서 연구·개발 역량을 한층 강화할 전망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전지의 분리막과 액체 전해질을 고체 전해질로 바꾼 차세대 이차전지다. 모든 소재가 고체로 구성돼, 에너지 밀도가 높고 대용량으로의 구현이 용이하다는 게 특징이다. 특히, 이온의 이동을 돕는 전해질 역시 고체이기 때문에 배터리의 화재 및 폭발 가능성이 낮다.
티디엘은 ESS 등에 적용 가능한 자체 전고체 배터리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위한 생산라인도 구축했다. 지난해부터 자체 개발 성공한 양산형 전고체 배터리 제품 ‘DUMU-6070150’을 생산하고 있으며, 연간 공장 생산 규모는 80MWh에 달한다.
티디엘은 올해 초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국내 최대 이차전지 전문 박람회 ‘인터배터리 2023’에서 국내 최초로 전고체 배터리로 구성된 ESS용 모듈 ‘TAM-시리즈’를 공개했다. 첫 모델인 ‘TAM-500-1’은 4Ah급 전고체 배터리를 7S(직렬) 5P(병렬) 구조로 설계한 제품으로 배터리 관리시스템(BMS)도 탑재했다.
티디엘은 실증특례 제도를 이용해 한국전력과 지자체에 ESS용 전고체 배터리를 우선 공급하고 있으며, 고온·고압의 안정적인 방산용 배터리 납품도 추진하고 있다. 이 외에도 티디엘은 향후 전기차(EV)용 모델의 출시도 계획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인수로 양 사간 사업 시너지가 발휘돼 티디엘의 강점인 산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개발 역량이 한 층 강화되는 것은 물론, 상업화 측면에서도 더욱 빠르게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보다, 소형 제품에 적합한 산화물계 전고체 배터리의 상용화가 더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hyk@s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함께하는사랑밭, 서울시 자립지원전담기관과 업무협약
- [부고] 천세윤(삼성화재 상무)씨 부친상
- “아, 미리 사둘걸!”…1000원 넘긴 엔화, 1100원 넘길까
- [제28회 서경 금융전략포럼] 이복현 "신뢰 회복이 금융 선진화 출발점"
- "트럼프 못 믿겠다"…달러 피해 엔으로
- 곤욕 치른 농협금융…'금융사고 제로화' 성공할까
- 금융당국, 'SKT 해킹' 비상대응본부 구성
- KB금융 다음달 자사주 1206만주 소각…매입가 기준 1조200억 규모
- NH농협금융 1분기 순익 7140억원…비이자이익 전년比 18.3% 증가
- '이가탄' 제조사 명인제약, 코스피 상장 예심 신청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전남도, 청년농촌보금자리 조성사업 3곳 추진
- 2전남도, '내게 맞는 일자리는' 주제 구직박람회 성료
- 3청년이 살기 좋은 도시 무안…청년센터 '취우수기관' 선정
- 4티웨이항공, 어린이날 기념 포켓몬 굿즈 증정 이벤트 성료
- 5LG화학, 사업장 인근 어린이들에 맞춤형 선물 전달
- 6마사회, 은퇴경주마 품평회·승마대회 성료
- 7박형준 부산시장, '세이브더칠드런 국제어린이마라톤' 참여
- 8두산위브더제니스 평내호평역 N49, 5월 6일부터 정당계약
- 9마사회 원당목장, 가정의 달 맞아 아동 동반 방문객 이벤트
- 10마사회, ‘닉스고’ 씨수말 성공 입증…美서 첫 자마 8.5억 낙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