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 전환’ 신세계L&B…‘친정 복귀’ 마기환 해법은

경제·산업 입력 2025-04-18 17:23:50 수정 2025-04-18 19:30:18 이혜연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신세계L&B, 지난해 52억원 손실 ‘적자 전환’
와인 매출 80% 이상 차지…시장 침체 ‘직격탄’
마기환 대표, 2년 만에 복귀…실적 반등 기대감



[앵커]
국내 와인 시장이 침체기에 접어들면서 신세계L&B가 가파른 실적 하락세를 겪고 있습니다. 주류 유통 전문 기업으로 입지를 다져온 신세계L&B가 신사업을 펼치는 등 다양한 시도에 나섰지만 실적 반등은 쉽지 않아 보이는데요. 약 2년 만에 친정으로 복귀한 마기환 대표가 어떤 해법을 제시할지 주목됩니다. 이혜연 기잡니다.

[기자]
국내 와인시장 침체 속에 신세계L&B 부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실적 개선을 위해 신사업 등 사업 다각화에 나섰지만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마기환 대표가 본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신세계L&B는 지난해 52억3000만원의 영업손실을 냈습니다.
2022년 116억원의 영업이익을 낸 이후 2023년 영업이익이 28억원으로 76.1% 줄더니, 지난해 적자 전환했습니다.

신세계L&B는 이마트의 100% 자회사로 수입 주류 유통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와인 매출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의존도가 높은데, 국내 와인 시장이 침체되면서 직격탄을 맞은 상황.

관세청에 따르면 국내 와인 수입액은 2022년 5억8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4억6000만 달러로 2년 사이 20% 이상 쪼그라들었습니다.
소비 위축이 장기화되면서 와인 전문매장 ‘와인앤모어’의 폐점도 늘고 있습니다.

신세계L&B는 수익성 개선을 위해 지난해 9월 만년 적자에 시달리던 소주 부문을 정리했고, ‘와인앤모어’를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확장하며 사업 구조개선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와인앤모어 뷰티’가 1년을 채우지 못하고 사실상 사업이 정리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같은 부진 속 신세계L&B 구원투수에 나선 마기환 대표.
지난해 경영 일선에 복귀했습니다. 2000년 신세계에 입사한 뒤 신세계L&B에서 영업팀장·상무를 거쳐 나라셀라 영업마케팅 총괄 자리로 이동했다가 약 2년 만에 다시 친정으로 돌아온 셈입니다.

마 대표는 수익성 개선과 본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 전략을 펼칠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마트 등 오프라인 유통망을 신세계L&B가 적극 활용해 실적 반등의 계기로 삼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입니다.
서울경제TV 이혜연입니다. /hy2ee@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이혜연 기자

hy2ee@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