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한국산 HBM·반도체장비 중국으로 수출 통제
경제·산업
입력 2024-12-03 09:10:52
수정 2024-12-03 10:01:04
김혜영 기자
0개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2일(현지시간) 수출통제 대상 품목에 특정 HBM 제품을 추가한다고 관보를 통해 밝혔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 만든 고성능 메모리로 AI 가속기를 가동하는 필수 부품 중 하나다
상무부는 이번 수출통제에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Foreign Direct Product Rules)을 적용했다. 미국 외 나라에서 제조한 제품이라도 미국산 소프트웨어나 장비, 기술이 사용됐다면 수출통제 대상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현재 전 세계 HBM 시장은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엔비디아 등이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 반도체 산업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다.
상무부는 HBM의 성능 단위인 '메모리 대역폭 밀도'(memory bandwidth density)가 평방밀리미터당 초당 2기가바이트(GB)보다 높은 제품을 통제하기로 했다. 상무부는 현재 생산되는 모든 HBM 스택이 이 기준을 초과한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는 현재 HBM 전량을 미국에 공급하고 있으며 생산량이 미국 내 수요를 못 따라가고 있어 당장은 별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삼성전자는 중국에서 나오는 HBM 매출이 약 30% 미만으로 추정되 영향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HBM 수출통제는 오는 31일부터 적용된다. 상무부는 HBM을 미국이나 동맹국에 본사를 둔 기업의 중국 자회사에 수출할 경우에는 일부 제품에 대해 수출통제 예외를 신청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했다.
한편, 중국은 즉각 반발다. 자국 기업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처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이날 "미국의 조치는 경제적 강압 행위로 불공정한 시장 관행에 해당한다"라고 지적했다./hyk@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SKT 유영상 "최태원 SK 회장 유심교체 안해…보호서비스로 충분"
- 현대차·기아, CDP 기후변화 대응·수자원 관리 부문서 수상
- 유한양행 "항암 신약서, 우수한 항종양 활성 확인"
- 산업부, 美 정부와 관세조치 관련 기술협의 개시
- “삶을 마주할 용기 생겨요”…성인용 그림책 ‘도시악어’ 출간
- 세라코닉, 단면은박 바이오 솔루블 세라믹페이퍼 신제품 출시
- '코드트리' 브랜치앤바운드, 매출 3배↑...2년째 영업이익률 20%
- 삼성전자, 임원 장기성과 인센티브도 '자사주'로 지급 검토
- BMW 코리아 미래재단, 어린이날 기념 체험형 교육 프로그램
- 여행에 미치다 소속 여행 크리에이터, 안동서 봉사·문화 체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