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법 법제화 속도…10명 中 6명 "불공정거래 처벌하라"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가상자산법이 법안 발의 2년만에 국회 법안소위를 통과하며 상반기 입법화가 기대되는 가운데 여론은 ‘불공정 거래행위 처벌’에 의미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록체인 기반 여론조사 앱(App) 크라토스가 지난 4월 28일부터 5월 4일까지 2,599명을 대상으로 가상자산법안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가상자산법이 ‘시세조종·부정거래 등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처벌 형량 및 근거 확립’에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답변이 59.5%로 가장 많았다고 9일 밝혔다.
이어 '해킹과 전산 장애 등 사고 등에 대비한 보험 및 공제 가입'을 긍정적이라고 답변한 비율이 26.8%로 뒤를 이었다. 반면, ‘가상자산 거래기록의 생성·보관 등을 의무화’와 ‘정책 자문기관 가상자산위원회 신설’이라고 답한 비율은 각각 7.4%, 6.3%를 나타냈다.
가상자산법에서 '투자자 자산보호' 보다 '불공정거래 행위 처벌'이 2배 이상 여론의 호응을 얻은 이유는 투자자들이 테라∙루나 사태 등 최근 늘어나는 가상자산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법안이 되길 희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처벌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전 연령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50대부터 70대까지 높은 연령층에서 모두 60%를 넘는 응답률을 보여 이러한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를 진행한 크라토스는 블록체인 기반의 V2E(Vote To Earn) 플랫폼이다. 투표개설∙투표참여∙댓글작성 등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사용자들에게 크라토스 코인을 제공한다. 크라토스 코인은 빗썸, 후오비글로벌(Huobi Global), 고팍스(GOPAX), 게이트아이오(Gate.io), MEXC 등 총 10개 국내외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다. /hyk@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주식 투자 대가' 워런 버핏, 연말 은퇴 선언…60년만
- 금감원, 키움증권 수시검사…"이틀 연속 전산장애 원인 파악"
- 투자 대신 예금 붓는 기업들…10억 초과 고액 예금 계좌 사상 최대
- 해킹 악재 SKT, '묻지마 베팅' 신용잔고 4배 급증
- 공매도 재개 한달…日거래대금 "안정화 수순"…남은 과제는 외인 복귀
- 웅진, 프리드라이프 인수…치열해지는 상조 시장
- SK텔레콤, 해킹 사고 여파에…1위 지위도 주가도 '흔들'
- 주유소 기름값 이번주 하락세 주춤…"다음주 다시 상승할 것"
- 경상수지 흑자 줄었나…가계부채 관리 계획도 관심
- 다음주 나우로보틱스 등 3개사 코스닥 상장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주식 투자 대가' 워런 버핏, 연말 은퇴 선언…60년만
- 2검찰 '보완수사' 요구 10만건 넘겨…지난해 최대치
- 3경기도, 국장급 5자리 신설 추진…도의회 "필요성 볼 것"
- 4관세 협상 카드 된 구글 ‘정밀 지도’…네카오 우려
- 5금감원, 키움증권 수시검사…"이틀 연속 전산장애 원인 파악"
- 6SKT "유심보호서비스 1991만명 가입…교체 95만여명"
- 7환율 변동성 2년5개월 만에 최대…일평균 9.7원 움직여
- 8강남3구·마·용·성 아파트값 상승…노·도·강은 여전히 '마이너스'
- 9공공기관장 업추비 '1등' 탄소진흥원…평균 1200만원
- 10"가전·TV보다 효자사업"…'호실적' 전장에 힘주는 삼성·LG전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