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등 재산신탁 규모, 5년만에 금전신탁 넘어서

[서울경제TV=고현정기자] 국내 부동산, 주식, 채권 등 재산신탁규모가 5년여 만에 금전신탁을 넘어섰다. 최근 문제가 된 '파생결합펀드(DLF) 사태'로 은행의 일부 금전신탁 상품 판매가 제한될 것으로 보여 격차는 더 벌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27일 금융감독원은 지난 9월말 현재 금융회사 신탁재산 950조3,00억원 가운데 재산신탁이 475조4,000억원(50.1%)으로 금전신탁(474조8,000억원)보다 6,000억원 많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재산신탁이 39조3,000억원 늘고 금전신탁이 37조5,000억원이 증가했다. 이는 2014년 6월말 이후 5년 3개월만이다.
신탁이란 고객이 현금이나 주식, 채권, 부산 등의 자산을 맡기면 은행 또는 증권사 등 신탁회사가 일정기간 운용관리해주는 서비스다. 올해 9월 말 현재 재산신탁 중 부동산신탁은 278조3,000억원, 금전채권신탁 192조2,000억원, 유가증권신탁 등이 4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금전신탁은 퇴직연금 등 특정금전신탁이 458조4,000억원으로 전체 신탁재산의 48.2%를 차지하고 불특정금전신탁은 16조4,000억원 수준이다. 특정금전신탁은 투자 대상에 따라 정기예금형, 수시입출금식형(MMT), 채권형, 주가연계형(ELT), 파생결합형(DLT) 등이 있다. 불특정금전신탁은 신탁회사가 자유롭게 자금을 운용하는 것으로, 2004년 7월 이후 연금저축신탁상품을 제외한 신규 가입은 금지된 상태다.
금융권별로는 은행이 운용하는 신탁재산이 470조원으로 전체의 49.5%를 차지하고 증권사 230조1,000억원(24.2%), 보험 22조8,000억원(2.4%) 등이다. 그동안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자 금융회사들은 신탁 시장을 새 수익처로 보았고 시장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왔다.
신탁시장은 당분간 부동산 등 재산신탁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대신자산신탁과 신영부동산신탁, 한국투자부동산신탁 등 부동산신탁회사 3곳에 대해 2009년 이후 10년 만에 인가를 내줬다, 지난해에는 부동산신탁회사 11곳이 모두 200억원 이상 흑자를 냈다. 반면 'DLF 사태'로 은행의 일부 금전신탁 상품 판매가 금지될 것으로 보여 금전신탁 시장의 일시적 위축 가능성이 거론되는 상황이다. 금융위가 최근 DLF 사태 후속 대책의 하나로 은행의 '고난도 금융투자상품' 판매 제한 카드를 제시했는데 여기에는 은행이 판매하는 일부 ELT·DLT 상품이 해당하기 때문이다./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코스피 2540대 강보합 마감…코스닥 1.4% 하락
- KB국민은행, 청소년 맞춤 멘토링 ‘KB라스쿨’ 발대식 개최
- 우리은행, 원티드랩과 외국인 구인·구직 서비스 강화 업무협약
- BNK부산은행, 백혈병 소아암 어린이 돕기 ‘사랑나눔 걷기대회’ 후원
- 하나은행, 군인 전용 비대면 대출 ‘하나원큐신용대출’ 출시
- 한국투자증권, 여의도에 초대형 디지털 사이니지 ‘키스 스퀘어’ 구축
- 와이즈에이아이, 에이유·덴트온 등 AI 직원 도입처 300곳 돌파
- 케이지에이-삼성스팩9호, 합병 확정…6월 18일 코스닥 상장
- 비에이치아이, 필리핀서 5200억원 규모 CFBC 보일러 수주
- 우리카드, '2025년 고객패널 발대식' 개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홍익표 민주당 전 원내대표, 김근태 재단 광주 초청 강연
- 2커튼 브랜드 '셀프메이커', 연 매출 30억 돌파
- 3KAI, 6G 저궤도 위성통신 개발사업 주관연구개발 업체 선정
- 4티웨이항공 소액주주연대, 수사 촉구 탄원…“예림당, 주주 기만해”
- 5송영길 고발인 조사 출석, "윤석열 서울구치소 입소하는 날 기다린다"
- 6김성제 시장, “지역 맞춤형 정책으로 발전 견인”
- 7양평 산나물축제, "가족중심 피크닉"성료
- 8양주시, 초미세먼지 2019년 이후 '최저'
- 9경기도교육청-카자흐스탄, 교육 협력 추진
- 10고양시, 하수관로 공사 매몰사고...복구작업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