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영풍 "고려아연, 명분·실리 챙겨"…고려아연은 '시세조정 의혹' 조사 요구
경제·산업
입력 2024-10-17 13:39:28
수정 2024-10-17 13:39:28
김민 기자
0개

17일 MBK파트너스의 투자목적법인 한국기업투자홀딩스는 고려아연 주식 공개매수 결과 110만5163주(5.32%)를 매수했다고 공시했다. MBK 측의 보유 주식수는 796만4417주(38.47%)로 늘었고 지분율은 33.13%에서 38.47%로 증가했다. 다만 영풍정밀에 대한 공개매수는 830주를 매수하는데 그쳐 지분율은 0.01% 늘어난 5.71%다.
MBK 측은 공개매수 결과에 대해 명분과 실리를 모두 잡았다고 평가했다. MBK 측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주주들과 자본시장으로부터 고려아연의 거버넌스를 다시 바로 세우겠다는 공개매수 본래 취지가 인정 받았다는 점이 더욱 의미있게 다가온다”며 “주주들이 5.34% 의결권 추가 지분을 몰아주게 된 가장 이유는 최윤범 회장의 자기주식 공개매수가 고려아연의 재무구조를 심각하게 훼손하면서 남은 주주들에게 그 피해가 전이된다는 점을 깨달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자본시장 관계자들의 말을 빌려 “MBK 파트너스와 같이 전세계 굴지의 연기금들로부터 투자 받아 인수한 기업의 중장기적 가치를 제고하는 전통적인 PE 운용사에게 기업 가치를 갉아먹는 행동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의결권 지분에서는 도움이 될 수도 있는, 최 회장의 자기주식 공개매수를 막고자 하는 MBK 파트너스 및 영풍과 뚜렷하게 대비된다”고 전했다.
같은 날 고려아연은 MBK 측의 시세조종이 의심된다며 금융감독원에 조사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고려아연은 주가가 최고가를 찍은 이후 특정 시간대에서 수차례 매도량이 급증한 점이 특정 세력이 의도적으로 주가를 끌어내리려 한 것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시장에서 매도가 꾸준히 이뤄지면서 주가가 78만원대까지 내려앉은 점이 일반적인 상황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당사가 접근할 수 있는 자료만으로는 이러한 단기간 주가 급락 사태의 경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관련 자료를 가진 금융당국에 조사를 요청한 것”이라며 “그간 금감원이 공개매수 과정에서 불공정거래 행위가 있었는지 확인되면 엄중 조치하겠다고 밝힌 만큼 조사결과를 기다릴 것”이라고 밝혔다. /rlaalsmin42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LG엔솔, 프랑스에 배터리 재활용 합작법인 설립
- 두 달 만에 돌아온 딥시크…“안심하긴 이르다”
- 현대오토에버, 수익성 ‘뚝’…‘홀로서기’ 과제
- ‘적자 전환’ 호텔신라, 구조조정·신사업…돌파구 마련 분주
- LG유플러스, 파주에 초대형 AIDC 구축…6156억 투자
- SKT, 가입자이탈·비용부담·집단소송 ‘진퇴양난’
- LG화학, 水처리 사업 11년만 철수…1.3兆에 매각 추진
- SKT, '유심 대란'…내달 중순부터 ‘유심 초기화’ 도입
- 한전, LNG 발전용 이산화탄소 포집 실증플랜트 준공
- 애경산업, 1분기 영업이익 60억원…전년 동기比 63%↓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 미디어아트전시관 '피오리움'…30일 개관
- 2남원시, 국악와인열차 타고 '남원 여행'…상반기 2,600명 유치
- 3남원시 광한서로, 보행환경 조성사업으로 '남원 품은 거리로 변화'
- 4남원시, 춘향제 기간 '공영주차장 59개소' 전면 무료 개방
- 5순창새마을금고, '전북새마을금고 경영평가 연도대상' 우수상 수상
- 6순창군, 5월 한 달간 '순창사랑상품권' 구매·적립 한도 상향 운영
- 7남원시의회, '신재생 에너지 자립도시 건설로 시민의 노후가 행복한 연구회' 발족
- 8서부지방산림청, 인구문제 개선 위한 '릴레이 캠페인' 참여
- 9고창군, 지방소멸대응기금 276억 원 투입 '청년 위한 정주 생태계 조성'
- 10BPA, 부산항 신항 내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들어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