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플러스]장 막판 급락한 美 증시, 어디로 가나

[앵커]
금일 국내 증시는 장 초반 부진을 딛고 상승 마감하긴 했지만 미 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퇴원에 따른 상승 모멘텀이 채 하루를 가지 못했습니다. 트윗을 통해 11월 3일 대선 이후까지 추가 경기부양책에 대한 합의를 하지 않을 것이란 발언이 시장에 찬물을 끼얹은 건데요, 변동성은 커질 수 밖에 없게 된 셈입니다. 미 증시 상황과 이에 따른 국내 시장 영향 짚어 봅니다. 센플러스 이지환 전문위원과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지환]
네 안녕하세요
Q1. 트럼프 대통령에 울고 웃는 것 같습니다. 코로나19 확진 후 빠른 퇴원으로 정치적 리스크 해소 측면에서 상승했던 미 증시가 현지시간 오후 3시 30분께 트럼프 대통령의 부양책 협상은 없다는 트윗에 상승분 모두 반납하고 급락 마감했거든요.
그런데 우리 시장은 장 초반 하락 뒤 반등에 성공하는 모습인데 영향이 적은 이유가 있습니까?
[이지환]
- 트럼프 트윗에도 외국인 선물 대규모 매수
- 외국인 대량 선물 매수에 따른 국내 증시 상승
- 트럼프 발언 우발적 요인임을 감안해야
[앵커]
Q2. 미국 대선이 다가올수록 이런 변동성은 커질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현 시각 미 야간 선물지수가 상승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거든요. 앞으로 어떻게 봐야 할까요.
[이지환]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발언 주목
- 파월 의장의 유동성 공급 의지 관련 발언 주목
[앵커]
오늘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SEN플러스 이지환 전문위원 함께 했습니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통신3사 주가 '희비'…KT·LG, 반사익 기대에 '신고가'
- 삼성카드 VS 신한카드, 업계 1위 '엎치락뒤치락'
- 카카오뱅크 앱에서도 '은행별 주담대 비교' 가능해진다
- 역대급 실적에도…금융지주, 침체기 방어 전략 '분주'
- 농협 1분기 경영분석회의…강호동 회장 "올해 손익목표 달성해달라"
- iM금융 1분기 순익 전년比 38% 증가한 1543억원…부동산PF 부담 덜어
- KB국민은행, 친환경 실천 ‘다함께 플로깅’ 행사 진행
- 코스피 2540대 강보합 마감…코스닥 1.4% 하락
- KB국민은행, 청소년 맞춤 멘토링 ‘KB라스쿨’ 발대식 개최
- 우리은행, 원티드랩과 외국인 구인·구직 서비스 강화 업무협약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