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깃만 스쳐도 관련주?"…대선판 달아오르자 정치테마주 '들썩'

금융·증권 입력 2025-04-21 13:38:58 수정 2025-04-21 13:38:58 김수윤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관련성 희박해도 학연·지연 등으로 '관련주' 묶여
선거 시기마다 폭등·폭락 사례 이어져
투자 과열에 금융권 단속 나서
"정치테마주, 투기에 가까워…보수적 접근 필요"

지난 19일 충북 청주체육관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충청권 합동연설회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정견발표를 하고 있다.[사진=뉴스1]

[서울경제TV=김수윤 인턴기자] 6월 3일 조기 대선이 확정됨에 따라, 최근 정치권에선 대선 출마 선언이 이어졌다. 이에 특정 정치인이나 후보와 관련된 ‘정치 테마주’가 국내 주식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포털 사이트에 특정 정치인(후보)의 이름을 검색하면, 검색란(연관검색어)에 ‘OOO 테마주’ 혹은 ‘OOO 관련주’가 표시된다. 네이버 포털 기준 ‘한동훈 테마주‘ 키워드는 3월 한달간 1520회, 4월 13일까지 6470회가 검색돼 검색량이 약 4배 증가했다. ’이재명 테마주‘의 경우에도 3월 한 달간 3만4100회, 4월 13일까지 10만410회의 검색량을 기록해 약 3배 증가했다. 업계에서는 증시 불확실성이 커지는 만큼, ‘한탕’ 해보겠다는 개인투자자들의 관심이 이어졌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 “옷깃만 스쳐도 관련주?”…학연·지연·경력 관련에도 “글쎄”

정치테마주는 해당 종목의 대주주 혹은 경영진이 특정 정치인과의 학연·지연이 있거나 과거 경력을 함께 했다는 이유만으로 연관 지어 분류된다. 정치인의 이름만으로 주가가 요동치는 '정치 테마주'는 관련성이 희박한 경우에도 투자자들의 관심을 끄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김문수 테마주’로 언급되는 평화홀딩스는 김종석 평화홀딩스 회장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과 같은 경주 김씨 종친이고, 평화홀딩스의 계열사 피엔디티 공장이 김 장관 고향인 경북 영천에 위치한다는 이유만으로 관련주로 평가받는다.

한덕수 권한대행이 공식 대선 출마 선언을 하지 않았음에도 ‘시공테크’는 박기석 회장이 2008년 한 권한대행과 국민경제자문회 민간위원 활동을 함께 했다는 이유로 관련주로 꼽힌다. 이밖에도 ‘S-OIL’은 2022년까지 한 대행이 사외이사로 활동한 이력이 있어 테마주로 언급된다.

투자자들 사이에선 “옷깃만 스쳐도 관련주”라는 지적이 나오기도 한다. 개인투자자 A씨는 “정치테마주를 자세히 들여다봤을 때 해당 정치인과 정확히 무슨 관련이 있는지 모르겠다”며 “이정도면 안철수 후보가 직접 창업한 ‘안랩’을 제외하고는 다 투기 수준”이라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 32배 폭등 후 ‘와르르’…이어지는 정치테마주 ‘잔혹사’

특정 정치인과의 연관성만으로 주가가 급등락하는 정치테마주가 변동성 높은 종목군으로 분류되며, 투자에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정치테마주는 정치적 이슈나 발언, 여론조사 결과 등과 같은 외부 변수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상 단기간에 큰 폭으로 주가가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지난 12일 서울 영등포구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이 제21대 대통령 선거 불출마 선언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뉴스1]

지난 14일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관련주로 언급되던 ‘진양화학’의 주가가 장중 29.99%, ‘진양산업’이 29.67% 급락하기도 했다. 두 종목은 양준영 진양홀딩스 부회장이 오 시장과 ‘고려대 동문‘이어서 테마주로 엮였다.

’이재명 테마주‘ 코나아이는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대선 출마 기대감에 2만원 초중반대를 기록하던 주가가 이달 들어 5만원 부근까지 치솟기도 했다. 코나아이는 경기도 지역화폐 운영 대행사로, 이재명 전 대표가 지역화폐 사업을 강력하게 추진해온 점에서 이른바 ‘이재명 테마주’로 분류된다. 그러나 지난 15일, 최대주주인 조정일 코나아이 대표가 사전 공시 의무를 비껴가는 수준으로 수십억원 규모의 보유 주식을 장내 매도해 장중 하한가로 추락하기도 했다. 

2007년 17대 대선 당시, ‘이명박 테마주’, ‘4대강 관련주’로 묶이던 이화공영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정치테마주의 전설’로 회자된다. 이화공영은 당시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가 당내 경선을 통해 대선 후보자로 확정되자 2007년 1월 기준 약 800원대였던 주가가 12월에는 2만5539원을 기록해 약 32배 증가했다. 

그러나 2007년 최종 거래일인 12월 28일 주가는 1만5900원으로 추락했고 이명박 전 대통령의 임기 종료를 앞둔 2012년 말 주가는 2000원대에 머물러 ‘대운하 테마주’로 각광받기 전 상태로 돌아갔다.

▲ 투자 ‘과열주의’…단속 나선 금융권

금융당국은 이러한 정치테마주에 대한 과도한 관심이 허위 정보 유포나 시세 조종 등 불공정 거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감독원은 투자자들에게 정치 관련 이슈에만 의존한 투자는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아울러 급등하는 테마주에 대해 투자주의 종목 지정을 확대하고, 이상 거래 발생 시 시장 감시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금융감독원 건물 전경.[사진=서울경제TV]

금감원은 작년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해제 이후, 정치 테마주가 급등락하며 이에 편승한 불공정거래 행위 확대가 우려된다며 특별단속반을 편성한 바 있다.

각 증권사들도 증거금률 조정과 신용대출 제한을 통해 투자자들의 안정적 투자를 유도하고 있다.
지난 11일, 미래에셋증권은 유라클·웹캐시(이재명 관련주) 등 정치 관련 5개 종목의 증거금률을 기존 40%에서 100% 상향했다. 같은 날 한국투자증권(33개), NH투자증권(5개), 삼성증권(6개) 등 각 증권사에서도 정치 관련주 등 변동성이 큰 종목들에 대해 신용대출 제한을 이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종목의 변동성이 크거나 (투자) 리스크가 높아졌을 때, 증권사는 위험성 관리를 위해 증거금률을 올리거나 신용대출을 제한한다. 증거금률은 투자자가 신용거래나 미수거래를 할 때 증권사에 예치해야 하는 자기 자본 비율이다. 증거금률이 100%로 조정되면 투자자는 해당 종목을 매수할 때 전액을 본인 자금으로 부담하게돼 사실상 신용거래가 제한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정치테마주 투자 시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분산 투자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장기적 관점에서 펀더멘털이 우수한 종목 위주의 접근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정치테마주는 감정적이고 단기적인 매매가 많아 주가 예측이 어렵고,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장기적 투자보다는 투기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정치적 이슈는 돌발성이 강하고 방향성이 불분명한 경우가 많아,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하지 않으면 손실 가능성이 크다”며 분산 투자와 보수적 접근을 조언했다.
/suyu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