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미분양' 또 늘어 2만4천가구…11년 5개월 만에 최대

경제·산업 입력 2025-04-20 09:45:32 수정 2025-04-20 09:45:32 김효진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전국 '악성 미분양' 11년 5개월만 최대치 찍어
정부 '지방 미분양 주택 매입' 등 정책과 대치되는 결과
악성 미분양 10개 중 8개는 지방에서 발생
건설사 자금 회수 차질 우려
"정책 효과까지 시간 걸리고 적체된 지방 미분양 물량 많아 단기간 해결은 어려워"

18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사진=뉴스1]

[서울경제TV=김효진기자] 전국 '악성 미분양' 물량이 계속 늘며 11년 5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정부가 지방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고 세제 혜택을 주는 등 각종 대책을 시행하고 있는 것과 대치되는 결과다.

20일 국토교통부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지난 2월 말 기준으로 전국 2만3722가구라고 밝혔다. 이는 2013년 9월(2만4천667가구) 이후 11년 5개월 만에 최대 규모다.

전국 악성 미분양의 80.8%는 지방(1만9179가구)에서 나왔다.
건물을 다 짓고도 팔리지 않은 아파트 10채 중 8채는 지방에 있는 셈이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3067가구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북(2502가구), 경남(2459가구), 전남(2401가구), 부산(2261가구), 제주(1658가구), 충남(1157가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2212가구, 인천 1679가구, 서울 652가구로 집계됐다.

아파트 공사비는 적게는 수백 억원에서 많게는 수 천억원에 이른다. 분양이 되지 않으면 건설사의 자금 회수에도 차질이 빚어진다. 때문에 미분양은 부동산 시장뿐 아니라 건설업계에도 위기를 초래한다.
최근 자금난을 버티지 못하고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한 건설사 중에는 대저건설, 제일건설, 대흥건설 등 지방의 대표 건설사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미분양 문제가 심각해지자 정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약 3000 가구를 매입하고, 디딤돌 대출 우대금리를 지원하는 등 추가 대책을 발표했다.

다만 이런 정책들이 실제 효과를 발휘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인 데다 특히 지방의 경우 적체된 미분양 물량이 워낙 많아 단기간 해결은 어려울 것으로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그간 분양 물량 조절이 안 되다 보니 (시장이) 안 좋은 시기에도 어쩔 수 없이 물량이 나오고 있어 사려는 사람은 사실상 없고 건설사 입장에서도 자금조달이 어렵게 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LH의 매입은 심폐소생술 정도인 것이고 근본적인 수요, 시장이 살아나야 되는데 현재 정치적인 불확실성까지 더해져서 (침체가) 장기화하고 있어 당장 해결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hyojean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효진 기자

hyojeans@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