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어통역으로 청각장애인도 즐긴 '콜드플레이 내한공연'
경제·산업
입력 2025-04-20 09:37:53
수정 2025-04-21 12:51:54
김효진 기자
0개
가사·현장 분위기·멤버 멘트까지 수어 통역
웨어러블 조끼로 드럼·베이스 음역 진동 형태로 전달
"청인들과 동등하게 즐길 수 있었던 공연"
해외서 빠르게 확산하는 '공연 수어통역'…국내 도입 요청 높아

[서울경제TV=김효진기자] 지난 19일 오후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영국 밴드 '콜드플레이'의 내한 공연 현장에는 수어 통역이 제공됐다. 이로 인해 청각장애인도 공연을 즐길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오는 25일까지 모두 여섯 차례 공연하는 콜드플레이는 무대가 잘 보이는 '스탠딩 구역'에 청각장애인 공간을 만들고 수어 통역사를 배치하고 있다.
19일에는 총 3명의 통역사가 자리했다. 소리는 잘 듣지 못 하지만 공연을 즐기러 온 팬들을 위해 가사뿐 아니라 현장 분위기 등을 전달했다.
공연장을 찾은 농인 김유진씨는 "멤버들이 하는 말까지 다 수어로 통역해줘 더욱 몰입할 수 있었다"며 "청인(농인이 아닌 사람)들과 동등하게 즐길 수 있었던 공연은 오랜만"이라고 말했다.
청각장애인 지원단체 '사랑의달팽이'는 콜드플레이는 공연에 온 농인과 난청인을 위해 '웨어러블 조끼'를 제공했다고 전했다. 이 조끼는 드럼이나 베이스 같은 낮은 음역을 진동 형태로 몸에 전달해준다.
해외 콘서트장에서는 수어 통역이 지난 몇년간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지난 2월 미국프로풋볼(NFL) 결승전인 '슈퍼볼' 하프타임 공연 때도 수어 통역사 2명이 가수 켄드릭 라마의 빠른 랩을 생생하게 통역해 화제를 모앙ㅆ다.
국내에서는 방탄소년단(BTS)을 시작으로 아이유 등이 콘서트에 수어 통역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청각장애인의 문화 접근성을 높이기에는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나온다.
농인 임서희(33)씨는 "대부분의 콘서트는 간곡히 요청해도 수어 통역이나 자막을 제공하지 않는다"며 "공연장에 가도 공연을 '지켜봤다'는 느낌을 받게 되고 비슷한 경험이 반복되다 보니 점점 콘서트를 안 가게 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대중음악·연예 행사를 경험한 장애인은 6%에 불과하다.
임씨는 "수어 통역 배치는 청각장애인의 문화 접근성과 문화 향유권 확대를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라며 "진동이나 소리 감지를 돕는 기기를 제공하거나 영상 등 시각적 요소를 강화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hyojean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이창용 "美中 관세협상 안되면 90일 유예 연장돼도 경제비용 커"
- 한국마사회, 승용마 번식 지원 사업…80두 규모 무상 지원
- 김해공항~중앙아시아 하늘길 열린다…부산~타슈켄트 6월 취항
- 美 SEC 신임 위원장 "가상화폐 규제 불확실성으로 혁신 제한"
- “에어컨 대신 맵탱”…삼양식품, WWF 업무협약 체결
- 신세계면세점, ‘트렌드웨이브 2025’ 파트너사…"쇼핑 혜택 제공"
- 美 캘리포니아주, 자율주행 트럭 시험운행 허용 추진
- 영풍 석포제련소 인근, 비소 등 환경오염 '심각'
- 주유소 기름값 11주 연속 내려…“다음 주도 하락세 지속”
- “최장 6일”…여행·면세업계, 5월 황금연휴 특수 노린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더불어민주당 호남권 경선...이재명 88.69% 압승
- 2“도자기의 색, 이천의 빛” 이천도자기축제 개막
- 3모두를 위한 무장애 관광
- 430일 팡파르…'소리'로 세계를 열다
- 5이창용 "美中 관세협상 안되면 90일 유예 연장돼도 경제비용 커"
- 6대한노인회 남원시지회, 제28회 지회장기 노인게이트볼 대회 성료
- 7한국마사회, 승용마 번식 지원 사업…80두 규모 무상 지원
- 8김해공항~중앙아시아 하늘길 열린다…부산~타슈켄트 6월 취항
- 9"제29회 기장멸치축제 즐기러 오세요"…25~27일 대변항서 축제
- 10오늘 서울 종로서 5만명 연등행렬…27일까지 일대 교통 통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