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방사청과 한국형 전투기 KF-21 PBL 계약 체결
경제·산업
입력 2024-12-09 13:44:03
수정 2024-12-09 13:44:03
김효진 기자
0개
[서울경제TV=김효진기자] KAI(한국항공우주산업)가 방위사업청과 한국형 전투기 KF-21 최초양산 항공기에 대한 PBL(성과기반 군수지원, Performance Based Logistics)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PBL은 전문업체가 전력화된 무기체계 후속군수지원을 전담하고 항공기 가동률 등 성과에 따라 성과금이나 패널티를 차등 지급하는 선진적인 후속군수지원 체계이다.
이번 PBL 계약은 지난 6월 계약을 체결한 최초 양산 물량을 대상으로 한다. 계약 금액은 1,243억 원 규모로 기간은 올해 12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3년이다.
KAI는 이번 사업을 위해 KF-21 전력화 이후 운영에 필요한 수리 부속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효율적인 정비 지원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항공기 가동율 향상 등 국가 항공전력 강화는 물론 운영유지비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구영 KAI 사장은 “이번 계약으로 KAI가 개발한 모든 국산 항공기의 PBL 라인업이 구축됐다.”며 “한국 공군의 차세대 핵심전력인 KF-21이 최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KAI의 모든 후속지원 역량을 동원해 최적의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KAI는 15년 동안 쌓아온 국내 후속지원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1,000여 대 이상 운영될 국산 항공기의 PBL 사업을 확대해 핵심사업군으로 육성한다는 전략이다.
KAI는 지난 2010년 한국공군의 KT/A-1을 시작으로 T-50 계열, 수리온 계열 항공기로 PBL 사업을 이어 왔다. 올해는 수출 기종 최초로 필리핀 FA-50PH의 PBL 계약을 체결해 개발‧생산에서 후속지원까지 책임지는 토탈 솔루션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통상 항공기는 운용되는 동안 성능개량 등 후속지원 비중이 항공기 획득 비용의 2~5배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F-21 PBL 사업도 향후 30년간 약 5조 원 이상의 사업 규모가 전망된다.
한편, KAI는 현재 KF-21의 시험비행을 안정적으로 진행하는 동시에 최초 양산 물량의 적기 납품을 위해 기체구조물 제작과 최종 조립 생산라인 구축을 차질없이 추진 중이다.
KF-21 시험비행은 지난달 말 1,000쏘티 무사고 비행을 달성하며, 전체 시험비행 2,000쏘티 중 절반을 성공리에 마치고 반환점을 돌았다.
지난 2015년 시작된 KF-21 체계개발 사업은 개발기간 10년 6개월로 2026년 6월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같은해 한국공군에 전력화 할 예정이다. /hyojeans@sedaily.com
PBL은 전문업체가 전력화된 무기체계 후속군수지원을 전담하고 항공기 가동률 등 성과에 따라 성과금이나 패널티를 차등 지급하는 선진적인 후속군수지원 체계이다.
이번 PBL 계약은 지난 6월 계약을 체결한 최초 양산 물량을 대상으로 한다. 계약 금액은 1,243억 원 규모로 기간은 올해 12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3년이다.
KAI는 이번 사업을 위해 KF-21 전력화 이후 운영에 필요한 수리 부속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효율적인 정비 지원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항공기 가동율 향상 등 국가 항공전력 강화는 물론 운영유지비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구영 KAI 사장은 “이번 계약으로 KAI가 개발한 모든 국산 항공기의 PBL 라인업이 구축됐다.”며 “한국 공군의 차세대 핵심전력인 KF-21이 최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KAI의 모든 후속지원 역량을 동원해 최적의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KAI는 15년 동안 쌓아온 국내 후속지원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1,000여 대 이상 운영될 국산 항공기의 PBL 사업을 확대해 핵심사업군으로 육성한다는 전략이다.
KAI는 지난 2010년 한국공군의 KT/A-1을 시작으로 T-50 계열, 수리온 계열 항공기로 PBL 사업을 이어 왔다. 올해는 수출 기종 최초로 필리핀 FA-50PH의 PBL 계약을 체결해 개발‧생산에서 후속지원까지 책임지는 토탈 솔루션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통상 항공기는 운용되는 동안 성능개량 등 후속지원 비중이 항공기 획득 비용의 2~5배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F-21 PBL 사업도 향후 30년간 약 5조 원 이상의 사업 규모가 전망된다.
한편, KAI는 현재 KF-21의 시험비행을 안정적으로 진행하는 동시에 최초 양산 물량의 적기 납품을 위해 기체구조물 제작과 최종 조립 생산라인 구축을 차질없이 추진 중이다.
KF-21 시험비행은 지난달 말 1,000쏘티 무사고 비행을 달성하며, 전체 시험비행 2,000쏘티 중 절반을 성공리에 마치고 반환점을 돌았다.
지난 2015년 시작된 KF-21 체계개발 사업은 개발기간 10년 6개월로 2026년 6월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같은해 한국공군에 전력화 할 예정이다. /hyojean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여행에 미치다 소속 여행 크리에이터, 안동서 봉사·문화 체험
- 셀로닉스, ‘트리어드 투명 오메가3 코어’ GS홈쇼핑서 첫 선
- “찾는 사람 많은데 공급은 실종”…신축 아파트 선호 현상 심화
-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복지 지원사업 통합설명회’ 개최
- 올해 부동산 키워드 ‘학세권’…동탄 꿈의숲 자연앤데시앙 주목
- ‘의정부 롯데캐슬 나리벡시티’ 계약금 5% 등 눈길
- 제네시스, 英 테이트 모던 파트너십 전시 개막
- 진에어, 5월 가정의 달 맞이 '매진 특가' 오픈
- 실수요 선호도 집중…운정역 더써밋 ‘84타입 단독’ 눈길
- 금호타이어, CJ 대한통운과 맞손…모빌리티 서비스 강화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여행에 미치다 소속 여행 크리에이터, 안동서 봉사·문화 체험
- 2셀로닉스, ‘트리어드 투명 오메가3 코어’ GS홈쇼핑서 첫 선
- 3“찾는 사람 많은데 공급은 실종”…신축 아파트 선호 현상 심화
- 4비에이치아이, 올해 누적 수주 1조2000억원 돌파
- 5와이즈에이아이, A2A 기반 AI 플랫폼으로 병의원 공략 가속
- 6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복지 지원사업 통합설명회’ 개최
- 7올해 부동산 키워드 ‘학세권’…동탄 꿈의숲 자연앤데시앙 주목
- 8‘의정부 롯데캐슬 나리벡시티’ 계약금 5% 등 눈길
- 9금융당국·업계, SKT 유심정보 유출사고 긴급회의…비상대응본부 운영
- 10제네시스, 英 테이트 모던 파트너십 전시 개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