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대 기업, 잉여현금흐름 1년 새 42조↑…삼성 '21조' 최대
경제·산업
입력 2024-12-04 08:37:16
수정 2024-12-04 08:37:16
김혜영 기자
0개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내 상장사 중 최근 3개년 비교가 가능한 261개 기업의 개별 기준 잉여현금흐름을 조사한 결과,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잉여현금흐름 총액은 39조4,335억원으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잉여현금흐름이 -2조3,114억원으로 마이너스였던 작년 동기 대비 41조7,449억원 증가하며 플러스로 전환했다.
잉여현금흐름은 영업활동 현금흐름에서 자본적 지출을 뺀 수치로 기업의 자금 사정이 얼마나 양호한 지를 알려주는 지표이자, 연말 배당 여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꼽힌다.
조사 대상 기업의 영업활동 현금흐름 총액은 올해 3분기 누적 123조462억원으로 작년 동기의 81조7,347억원 대비 41조3,116억원(50.5%) 증가했다. 이는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이 기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영업손익이 각각 20조원 이상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반면 기업들이 투자에 보수적으로 나서면서 이 기간 자본적 지출은 84조461억원에서 83조6,127억원으로 0.5% 줄었다.
CEO스코어는 "자본적 지출은 미래의 이윤 창출, 가치 취득을 위해 지출된 투자 과정에서의 비용으로, 이 수치가 줄었다는 것은 기업들이 투자를 줄였다는 의미"라며 "삼성전자뿐 아니라 대부분 기업이 투자에 소극적으로 임했다"고 전했다.
잉여현금흐름이 늘어난 기업은 119곳, 감소한 기업은 142곳이었다. 증가액 상위 3사인 삼성전자(21조2,246억원↑), 한국전력공사(15조1,292억원↑), SK하이닉스(10조3,177억원↑)의 증가분이 총 46조6,715억원으로 비중이 컸다.
삼성전자의 경우 올해 3분기 누적 잉여현금흐름이 13조3천460억원으로 작년 동기의 -7조8,785억원에서 플러스 전환에 성공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27조5,31억원에서 41조1,828억원으로 49.7% 증가하고, 자본적 지출도 35조3,816억원에서 27조8,368억원으로 21.3% 감소한 결과로 풀이된다. /hyk@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현대제철, CDP 기후변화 대응 분야 우수기업 선정
- SKT 유영상 "최태원 SK 회장 유심교체 안해…보호서비스로 충분"
- 현대차·기아, CDP 기후변화 대응·수자원 관리 부문서 수상
- 유한양행 "항암 신약서, 우수한 항종양 활성 확인"
- 산업부, 美 정부와 관세조치 관련 기술협의 개시
- “삶을 마주할 용기 생겨요”…성인용 그림책 ‘도시악어’ 출간
- 세라코닉, 단면은박 바이오 솔루블 세라믹페이퍼 신제품 출시
- '코드트리' 브랜치앤바운드, 매출 3배↑...2년째 영업이익률 20%
- 삼성전자, 임원 장기성과 인센티브도 '자사주'로 지급 검토
- BMW 코리아 미래재단, 어린이날 기념 체험형 교육 프로그램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