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생계비대출 1년…'연체율 잡고, 성실 상환하면 재대출 지원'
[앵커]
저신용자에게 최대 100만원의 급전을 빌려주는 정책금융상품인 ‘소액생계비대출’이 시행된 지 1년이 지났습니다. 금융당국은 제도 시행 1년 동안 18만명의 서민을 지원했다는 성과를 밝히는 한편 높아진 연체율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도 발표했습니다. 전액 상환자는 재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채무조정과 고용지원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김도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민금융진흥원이 주관하는 소액생계비대출은 신용평점이 하위 20%이면서 연 소득 3,500만원 이하인 성인을 대상으로 최대 100만원을 대출해주는 정책금융상품입니다.
지난해 3월말부터 시행된 소액생계비대출은 지난 5월말까지 총 18만2,655명에게 1,403억원을 지원했습니다.
신용 하위 10% 이하의 저신용자가 92.7%로 가장 많이 이용했고, 기존 금융권 대출 연체자도 32.8%에 달했습니다.
이용자 연령별로 보면 20~30대가 43.6%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직업별로는 일용직이나 무직, 학생 등 기타 직업군이 69.1%로 집계됐습니다.
금융위는 실제로 민간 금융사 대출 이용이 어려운 저신용 취약계층에게 소액의 생계비를 지원해 이들의 금융 애로를 완화했다고 봤습니다.
다만 연체율이 계속해서 오르고 있어 제도 보완 필요성도 제기됐습니다.
소액생계비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9월 8.0%에서 올해 3월 15.5%로 두 배 가까이 상승했고, 지난달에는 무려 20.8%를 기록했습니다.
금융당국은 취약계층이 불법사금융에 빠지지 않도록 소액생계비대출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성실 상환자에게는 재대출 기회를 주기로 했습니다.
[싱크] 김소영 /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정부는 소액생계비대출 제도가 서민층의 긴급한 자금 수요를 지원하는 제도로써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지원 기능을 더욱 강화하고자 합니다."
오는 9월부터 소액생계비대출을 전액 상환한 경우, 최저 9.4%의 낮은 금리로 재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이자 상환 능력이 있다고 판단되면 원리금 일부 납부를 조건으로 만기를 연장해주는 제도가 마련될 예정입니다.
당국은 채무자의 상환능력을 높이기 위한 지원책도 마련할 계획입니다. 다중채무자는 채무조정을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고, 연체자에 고용지원제도와 부채 컨설팅 프로그램 등을 지원해 근본적인 상환능력을 키운다는 방침입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영상취재 김경진]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씨아이테크, 엠오디 흡수합병…AI 헬스케어 플랫폼 사업 본격화
- KB국민카드, ‘인천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얼리버드 티켓 판매
- NH농협은행, 영농철 맞아 충남 당진 육묘장서 일손돕기 실시
- 릴리바이레드, 신제품 ‘이슬잔광 컬렉션’ 올리브영 단독 출시
- KB국민은행, 7억 달러 규모 선순위 글로벌 채권 발행
- 신한은행, 외국인 고객 대상 급여송금 환율 우대 이벤트
- 우리금융, 은행×증권 협업…CIB시장 공략 나선다
- KB국민은행, 현대자동차그룹 협력업체 대상 600억원 규모 금융지원
- 코스피 2550선 부근 보합권 등락…코스닥 상승 출발
- LG생건, 아쉬운 미국 사업 성과…'중립'-한국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