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지오센트릭, 글로벌기업 암코와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 공급협약’ 체결

[서울경제TV=김효진기자] SK지오센트릭이 오는 2025년부터 생산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를 글로벌 포장재 기업에 공급한다.
세계 최초로 구축 중인 폐플라스틱 재활용 종합단지 울산ARC(Advanced Recycling Cluster)에서 생산되는 재활용 원료 판매를 본격화하는 것이다.
SK지오센트릭은 글로벌 포장재 기업 암코(Amcor)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활용한 '플라스틱 원료 공급협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열분해유는 폐비닐 등 매립, 소각되던 폐플라스틱 쓰레기를 녹여 추출한 기름이다. 열분해유는 일련의 후처리 공정을 거치면 원유에서 추출한 화학제품과 동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SK지오센트릭은 2025년부터 울산ARC에서 생산되는 열분해유로 만든 재활용 원료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을 암코에 공급한다. 암코는 이 원료로 의약품, 화장품, 식품 제품 등에 쓰이는 포장재를 제작해 글로벌 소비재 기업에 판매할 계획이다. 양사는 포장재 관련 추가협력도 이어나가기로 했다.
암코는 식품, 의약품, 음료 등을 판매하는 기업에 관련 포장재를 공급하고 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 기업이며, 작년 연 매출 147억 달러(약 19조원)를 달성했다. 작년 기준 41개국 218개 공장에서 약 4만 1,000여명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SK지오센트릭 울산ARC에서 생산된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를 공급 받는 기업은 늘어날 전망이다. SK지오센트릭은 울산ARC에 열분해 공정 외에도 해중합, 고순도PP 추출 기술을 도입해 여러 종류의 폐플라스틱 재활용(연간 32만톤 규모)이 가능하도록 구축 중이다.
이에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 확보를 원하는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이 SK지오센트릭에 러브콜을 보내며 협력 기회를 모색 중이다.
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은 “글로벌 유수의 포장재 기업인 암코와 울산ARC 제품 기반 협력을 시작하게 되어 기쁘다“며 “플라스틱 쓰레기로 생산된 열분해유가 최종 소비재 제품의 포장재까지 적용되는 공급망을 확대해 순환경제 구축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크 캐쉬(Mike Cash) 암코 아시아태평양지역 회장은 “다양한 소비재 제품군에 재활용 원료가 포함된 포장재를 공급하는 암코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암코가 식품-의약품 포장재 사업의 기회를 발굴하고 범용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순환경제 구축을 달성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hyojean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관세 협상 카드 된 구글 ‘정밀 지도’…네카오 우려
- SKT "유심보호서비스 1991만명 가입…교체 95만여명"
- 환율 변동성 2년5개월 만에 최대…일평균 9.7원 움직여
- 강남3구·마·용·성 아파트값 상승…노·도·강은 여전히 '마이너스'
- 공공기관장 업추비 '1등' 탄소진흥원…평균 1200만원
- "가전·TV보다 효자사업"…'호실적' 전장에 힘주는 삼성·LG전자
- K·조선업, '트럼프 효과' 기대…美 현지화·인력난은 극복해야
- '해방의 날' 충격 회복…파월 '입'으로 옮겨간 시선
- 니뽕내뽕, 신메뉴 '치즈라구뽕·치즈라구또' 출시
- 사라진 '경제사령탑' 장관급 정책조율 표류…베선트 핫라인도 중단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주식 투자 대가' 워런 버핏, 연말 은퇴 선언…60년만
- 2검찰 '보완수사' 요구 10만건 넘겨…지난해 최대치
- 3경기도, 국장급 5자리 신설 추진…도의회 "필요성 볼 것"
- 4관세 협상 카드 된 구글 ‘정밀 지도’…네카오 우려
- 5금감원, 키움증권 수시검사…"이틀 연속 전산장애 원인 파악"
- 6SKT "유심보호서비스 1991만명 가입…교체 95만여명"
- 7환율 변동성 2년5개월 만에 최대…일평균 9.7원 움직여
- 8강남3구·마·용·성 아파트값 상승…노·도·강은 여전히 '마이너스'
- 9공공기관장 업추비 '1등' 탄소진흥원…평균 1200만원
- 10"가전·TV보다 효자사업"…'호실적' 전장에 힘주는 삼성·LG전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