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겨울 스포츠 ‘반월상연골판파열’ 부상 주의해야

겨울 한파는 스키와 보드 같은 겨울 스포츠의 짜릿함을 느끼기 위해 기다려온 이들에게 즐거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눈 위에서 빠른 속도로 하강하는 겨울철 대표 스포츠들은 활강 속도가 빠른 만큼 스릴을 느끼기 좋지만 작은 충격에도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특히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상 중 하나가 바로 ‘반월상연골판파열’이다. ‘반월상연골판’은 무릎 관절 사이에 존재하는 반달모양의 구조물로 관절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신체를 지탱한다. 하지만 지속해서 무리하거나 심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해당 부위가 파열될 수 있다.
‘반월상연골판파열’의 대표적인 증상은 무릎에서 ‘뚝’하는 소리와 함께 발생하는 통증이다. 동시에 무릎의 안정감이 줄어들면서 삐걱거림과 함께 무언가 걸리는 듯한 느낌이 느껴지고, 양반다리나 무릎을 꿇을 때, 다리를 꼬는 자세 등에서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
파열이 심하지 않은 경우 시간이 지나며 증상이 완화되기도 하지만 방치 시 손상 부위가 악화되며, 퇴행성관절염까지 이어질 수 있어 통증이 느껴진다면 전문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증상 초기라면 약물치료, 주사치료, 물리치료 같은 보존적 치료와 함께 압박붕대 및 부목 등을 이용하여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다만 통증이 심하고 파열 정도가 심하다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절제술과 봉합술, 이식술 등이 필요하다.
관절내시경은 특수 소형카메라가 부착된 첨단 의료 장비로 치료 시 4mm 정도의 가느다란 내시경이 삽입되며, 관절 내부의 모습이 모니터 화면에 송출돼 X-ray나 CT, MRI와 같은 영상 검사로도 확인하기 힘든 부위까지 정확히 확인하며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반월상연골판파열’ 예방을 위해서는 운동 전 스트레칭과 준비운동을 실시하여 추운 겨울철 근육이나 인대 등이 경직되지 않도록 풀어주는 것이 좋다. 만약 충돌과 같은 예기치 못한 사고가 생겨 통증이 지속된다면 가급적 빨리 병원에 방문해 진찰과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오늘 서울 종로서 5만명 연등행렬…27일까지 일대 교통 통제
- 풀하우스 OST 리메이크 뮤비, 모희서 ‘첫사랑 아이콘’으로 데뷔
- “골프 꿈나무 키워요”…석교상사, 주니어 골퍼 지원 확대
- 글로벌일자리창출협의회, 해남서 외국인불법체류자 선도 앞장
- 주말 첫날 전국 봄비…돌풍에 천둥·번개도
- 한국문화정보원, 디지털 신기술 ‘영상 크리에이터’ 모집
- '방문하기 좋은 국가유산 코스' 선정…4월 '왕가의 길' 눈길
- 택시요금 올라도 연말 서울 택시 이용 22%↑
- 오세훈 서울시장, ‘주말 도심 집회 안전대책회의’ 열어 대응계획 점검
- 경남도, 도내 지하차도 52곳 안전점검 실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변 없었던 민주당 호남경선...'어대명' 한 발 다가서
- 2더불어민주당 호남권 경선...이재명 88.69% 압승
- 3“도자기의 색, 이천의 빛” 이천도자기축제 개막
- 4모두를 위한 무장애 관광
- 530일 팡파르…'소리'로 세계를 열다
- 6이창용 "美中 관세협상 안되면 90일 유예 연장돼도 경제비용 커"
- 7대한노인회 남원시지회, 제28회 지회장기 노인게이트볼 대회 성료
- 8한국마사회, 승용마 번식 지원 사업…80두 규모 무상 지원
- 9김해공항~중앙아시아 하늘길 열린다…부산~타슈켄트 6월 취항
- 10"제29회 기장멸치축제 즐기러 오세요"…25~27일 대변항서 축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