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버스, 120억원 규모 ‘영구 교환사채’ 발행…"재무구조 개선"
금융·증권
입력 2024-12-19 09:46:40
수정 2024-12-19 09:46:40
김혜영 기자
0개

영구 교환사채의 경우 발행 회사 입장에서는 투자금액을 자본으로 분류할 수 있어 긍정적이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일반 교환사채보다 발행조건이 부담스러울 수 있어 신용도가 높은 대기업집단에서 발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를 감안할 때 크레버스의 영구 교환사채 발행 성공은 시장의 신뢰를 받았다는 척도로 볼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또한 이번 크레버스 영구 교환사채는 타사 사례들과는 다르게 주식으로의 전환 기간을 업계 최초로 발행 후 21개월로 설정했다. 이는 기존 주주들에게 단기 오버행(물량부담) 이슈에 대한 불안감을 낮추고, 회사가 성장한 뒤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간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투자자들 입장에서도 주식 미교환 기간만큼 크레버스의 배당 수익을 이자형태로 확보할 수 있다.
김진빈 크레버스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은 “크레버스는 국내외 교육시장 내 커버리지 확대를 통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한편, 이번 투자를 통해 부채비율 개선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을 이룰 것”이라며 “현금을 확보하고 해당 자원을 크레버스 성장동력에 활용해 내실과 외실을 모두 갖출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hyk@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iM증권, 1분기 당기순이익 259억원…5분기 만에 '흑자 전환'
- 키움증권, 1분기 영업익 3254억원…전년 동기 대비 3.77%↓
- 비에이치아이, 올해 누적 수주 1조2000억원 돌파
- 와이즈에이아이, A2A 기반 AI 플랫폼으로 병의원 공략 가속
- 금융당국·업계, SKT 유심정보 유출사고 긴급회의…비상대응본부 운영
- 우리금융, 신종자본증권 4000억원 발행 성공
- 하이브, 실적 성장성+리레이팅 가능성…"매력적 구간"-NH
- 이익 늘었지만 부실 커진 하나카드…성영수號 첫 시험대
- 아닌 밤중에 블록딜?…한화오션 주주 '당혹'
- [이슈플러스] 우리금융 CET1 관리 통했다…비은행 강화 순항할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