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리언트, 美 학회서 MD앤더슨과의 혈액암 임상 계획 발표
금융·증권
입력 2024-12-10 09:31:13
수정 2024-12-10 09:31:13
김혜영 기자
0개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 혁신신약 개발 전문기업 큐리언트는 MD앤더슨 암 센터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는 면역항암제 아드릭세티닙(Adrixetinib, Q702)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 임상 계획을 제66회 미국혈액학회 연례학술대회(ASH 2024)에서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미국혈액학회는 혈액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회 중 하나로, 1958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66년의 전통을 자랑한다. 이달 7일에서 10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제66회 연례학술대회는 약 2만8,000명 이상의 연구자들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전체 성인 백혈병 환자의 약 80%를 차지할 정도로 흔하게 발생하는 혈액암이다. 특히 재발성/불응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치료가 어렵고 예후가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이러한 환자군에서 완전 관해율(CR)은 3-14%, 전체생존기간(OS)은 3-6개월 수준에 불과하다. 1차 표준치료제로 사용되는 베네토클락스(Venetoclax) 치료를 받는 환자 중에서도 40% 이상이 재발을 경험하며, 4년 생존율이 15%를 넘지 못하는 현실은 이 분야에서 여전히 높은 미충족 수요가 존재함을 보여준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이번에 발표된 초록에서는 지난 10월 개시된 MD앤더슨 암 센터와의 임상시험 계획을 소개했다. 아드릭세티닙이 표적으로 하는 Axl/Mer/CSF1R의 발현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나쁜 예후와 관련이 있다는 점, 재발성/불응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 모델에서 Axl/Mer 저해 요법을 투여한 결과 베네토클락스 병용뿐만 아니라 단독 요법에서도 치료 활성을 보였다는 전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상을 실시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남기연 큐리언트 대표는 "아드릭세티닙은 임상1상에서 입증된 안전성과 효능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에 미국의 주요 기관들과의 협력과 적응증 확대가 가능했다"라며 "최근 발표한 이식편대숙주질환(GvHD) 적응증 추가를 포함하여 혈액암 치료의 전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파이프라인이 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용준 동구바이오제약 (4,495원 ▲135 +3.10%) 대표는 "큐리언트의 혁신적인 신약 개발이 혈액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기를 진심으로 응원한다"며, "동구바이오제약은 이번 임상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며, 양사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바이오헬스케어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미국혈액학회는 혈액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회 중 하나로, 1958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66년의 전통을 자랑한다. 이달 7일에서 10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제66회 연례학술대회는 약 2만8,000명 이상의 연구자들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전체 성인 백혈병 환자의 약 80%를 차지할 정도로 흔하게 발생하는 혈액암이다. 특히 재발성/불응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치료가 어렵고 예후가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이러한 환자군에서 완전 관해율(CR)은 3-14%, 전체생존기간(OS)은 3-6개월 수준에 불과하다. 1차 표준치료제로 사용되는 베네토클락스(Venetoclax) 치료를 받는 환자 중에서도 40% 이상이 재발을 경험하며, 4년 생존율이 15%를 넘지 못하는 현실은 이 분야에서 여전히 높은 미충족 수요가 존재함을 보여준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이번에 발표된 초록에서는 지난 10월 개시된 MD앤더슨 암 센터와의 임상시험 계획을 소개했다. 아드릭세티닙이 표적으로 하는 Axl/Mer/CSF1R의 발현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나쁜 예후와 관련이 있다는 점, 재발성/불응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 모델에서 Axl/Mer 저해 요법을 투여한 결과 베네토클락스 병용뿐만 아니라 단독 요법에서도 치료 활성을 보였다는 전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상을 실시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남기연 큐리언트 대표는 "아드릭세티닙은 임상1상에서 입증된 안전성과 효능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에 미국의 주요 기관들과의 협력과 적응증 확대가 가능했다"라며 "최근 발표한 이식편대숙주질환(GvHD) 적응증 추가를 포함하여 혈액암 치료의 전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파이프라인이 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용준 동구바이오제약 (4,495원 ▲135 +3.10%) 대표는 "큐리언트의 혁신적인 신약 개발이 혈액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기를 진심으로 응원한다"며, "동구바이오제약은 이번 임상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며, 양사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바이오헬스케어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iM증권, 1분기 당기순이익 259억원…5분기 만에 '흑자 전환'
- 키움증권, 1분기 영업익 3254억원…전년 동기 대비 3.77%↓
- 비에이치아이, 올해 누적 수주 1조2000억원 돌파
- 와이즈에이아이, A2A 기반 AI 플랫폼으로 병의원 공략 가속
- 금융당국·업계, SKT 유심정보 유출사고 긴급회의…비상대응본부 운영
- 우리금융, 신종자본증권 4000억원 발행 성공
- 하이브, 실적 성장성+리레이팅 가능성…"매력적 구간"-NH
- 이익 늘었지만 부실 커진 하나카드…성영수號 첫 시험대
- 아닌 밤중에 블록딜?…한화오션 주주 '당혹'
- [이슈플러스] 우리금융 CET1 관리 통했다…비은행 강화 순항할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