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운전자 車손해율 80.2% 달해…해법 찾는 보험업계

[앵커]
시청역 역주행 사고에 이어 일주일 새 서울 도심부에서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가 잇따르자 안전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보험사 통계에서도 65세 이상 운전자가 65세 미만 운전자보다 손해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보험업계에서도 고령 운전자의 사고율을 줄이기 위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도하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가 65세 미만 운전자보다 13% 정도 교통사고를 더 많이 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65세 이상 운전자의 사고율은 4.57%, 65세 미만 운전자의 사고율은 4.04%로 집계됐습니다.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의 사고율이 1.13배 더 높게 나타난 겁니다.
게다가 65세 이상 운전자가 낸 교통사고는 피해자 수도 더 많고, 사고 피해자의 중상 비율도 더 높았습니다.
65세 이상 운전자가 낸 사고의 평균 피해자 수는 2.63명으로, 65세 미만 운전자가 낸 사고의 피해자 수(1.96명)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교통사고로 다친 사람들 중 중상자와 사망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사고 심도 역시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가 낸 사고에서 높게 나타났습니다.
65세 미만 운전자 사고의 사고 심도는 7.67%인 반면,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 사고 심도는 8.72%로 훨씬 높았습니다.
고령 운전자의 사고 빈도와 피해 정도가 높게 나타나면서 지난해 자동차보험 손해율도 80.2%로 집계됐습니다.
65세 미만 운전자(76.3%)보다 4%포인트 가까이 더 높게 나타난 겁니다.
고령 운전자가 낸 사고의 평균 손해액(481만2,659원) 역시 65세 미만 운전자(446만6,566원)보다 34만6,000원가량 더 많았습니다.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율과 피해자 중상 비율이 높게 나타나면서 관련 대책 마련을 위한 보험업계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싱크] 보험업계 관계자
"손해율을 생각하면 고령자 운전 제한하는 쪽으로 가야 되는 건 맞기는 한데…그렇다고 해서 또 고령자분들도 고객의 한 군에 속하잖아요…반납을 하는 걸 강제성을 두는 것도 또 아닌 것 같고…"
10년 뒤인 2035년에는 1,000만명에 가까운 고령 운전자가 예상되고 있어, 고령자의 운전 능력 등을 고려한 안전운전 유도책이 시급해 보입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itsdoha.kim@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코스피 2540대 강보합 마감…코스닥 1.4% 하락
- KB국민은행, 청소년 맞춤 멘토링 ‘KB라스쿨’ 발대식 개최
- 우리은행, 원티드랩과 외국인 구인·구직 서비스 강화 업무협약
- BNK부산은행, 백혈병 소아암 어린이 돕기 ‘사랑나눔 걷기대회’ 후원
- 하나은행, 군인 전용 비대면 대출 ‘하나원큐신용대출’ 출시
- 한국투자증권, 여의도에 초대형 디지털 사이니지 ‘키스 스퀘어’ 구축
- 와이즈에이아이, 에이유·덴트온 등 AI 직원 도입처 300곳 돌파
- 케이지에이-삼성스팩9호, 합병 확정…6월 18일 코스닥 상장
- 비에이치아이, 필리핀서 5200억원 규모 CFBC 보일러 수주
- 우리카드, '2025년 고객패널 발대식' 개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코스피 2540대 강보합 마감…코스닥 1.4% 하락
- 2금호타이어, 지역 취업준비생 '취업 트렌드' 정보 공유..."뜨거운 호응"
- 3한화오션, 부유식 도크·해상 크레인 신규 도입
- 4동아쏘시오그룹, 디지털 혁신 가속화를 위한 ‘동지니AI’ 도입
- 5광주 북구, 영남지역 산불피해 복구 성금 1억 원 전달
- 6오미화 의원, '민주화운동 명예수당' 추진...6월부터 6만 원 지급
- 7지역균형발전과 경쟁입시체제 완화를 위한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 토론회
- 8포스코, 슬래그시멘트로 콘크리트 산업 생태계 전략적 협력 이끈다
- 9뉴트리케어, 강원도 횡성 인근에 첨단 제1신공장 완공
- 10광주 북구의원 개정 조례안, 해당 상임위 통과..."주민 신뢰 제고" 기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