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다, '전국 외식업 기상도' 공개…패스트푸드·베이커리·카페 '맑음'

·[서울경제TV=김도하 기자] 대출 전문 핀테크 '핀다'가 지난 달 전국 외식업 상권 동향을 담은 '전국 외식업 상권 기상도'를 22일 공개했다.
지난 달 국내 외식업 매출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3.16% 감소한 약 9조 9,058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원 대비 10.8%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전국 17개 시·도 중 외식업 상권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지역은 전북(2,13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5% 증가했다. 1년 전보다 매출이 증가한 지역은 전북을 포함해 6곳(전북, 인천, 광주, 대구, 경남, 부산)에 불과했다.
특히 전국 매출의 절반 이상(55.0%)을 차지하는 서울, 경기 지역의 매출 감소폭이 컸다.
매출 규모가 가장 큰 서울(3조 18억 원)은 매출액(-6.94%)과 결제 건수(-3.37%) 모두 전년 동기 대비 감소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매출 규모 2위인 경기(2조 4,561억 원) 역시 매출액(-3.13%)과 결제 건수(-1.76%) 모두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반면 같은 수도권에 위치한 인천(5,792억 원)은 매출액(+2.01%)과 결제 건수(4.36%) 모두 1년 전보다 증가하며 수도권 내에서도 상반된 양상을 보였다.
또 고물가 영향으로 건당 평균 결제액은 전국 17개 시도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전국 외식업 건당 평균 결제액은 2만6,415원으로, 이는 전년 동기(2만6,745원) 대비 1.23% 감소한 수치다.
감소폭이 가장 컸던 세종(-5.61%)의 평균 결제액은 2만3,622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당 평균 결제액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3만2,674원)였다.
핀다는 외식업 세부 업종별 매출 증감률도 함께 공개했다. 지난 달 기준으로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 증가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패스트푸드(6.92%)였다. 이어 베이커리(5.22%), 카페(3.55%), 치킨·닭강정(2.89%), 뷔페(2.07%)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카페(8,775원)를 비롯해 베이커리(1만4,658원), 패스트푸드(1만5,411원) 등 매출 증가율 상위권에 자리한 업종들은 모두 건당 평균 결제액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양식(4만8,837원), 주점(4만9,943원), 수산물(6만4,898원) 등 상대적으로 건당 평균 결제액이 높은 업종들의 매출이 큰 폭으로 떨어진 것과 비교된다.
황창희 핀다 오픈업 프로덕트 오너는 "건당 평균 결제액이 가장 낮은 카페 업종조차 1년 전보다 평균 결제액이 줄어들며 고물가 시기에 지갑을 닫고 가성비를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외식업 예비 창업자나 기창업자 모두 타겟 고객층에 맞춰 가격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itsdoha.k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통신3사 주가 '희비'…KT·LG, 반사익 기대에 '신고가'
- 삼성카드 VS 신한카드, 업계 1위 '엎치락뒤치락'
- 카카오뱅크 앱에서도 '은행별 주담대 비교' 가능해진다
- 역대급 실적에도…금융지주, 침체기 방어 전략 '분주'
- 농협 1분기 경영분석회의…강호동 회장 "올해 손익목표 달성해달라"
- iM금융 1분기 순익 전년比 38% 증가한 1543억원…부동산PF 부담 덜어
- KB국민은행, 친환경 실천 ‘다함께 플로깅’ 행사 진행
- 코스피 2540대 강보합 마감…코스닥 1.4% 하락
- KB국민은행, 청소년 맞춤 멘토링 ‘KB라스쿨’ 발대식 개최
- 우리은행, 원티드랩과 외국인 구인·구직 서비스 강화 업무협약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통신3사 주가 '희비'…KT·LG, 반사익 기대에 '신고가'
- 2삼성카드 VS 신한카드, 업계 1위 '엎치락뒤치락'
- 3카카오뱅크 앱에서도 '은행별 주담대 비교' 가능해진다
- 4정의선 “EV3 세계 올해의 차 수상…혁신DNA 인정”
- 5“티웨이 대주주 나성훈 거짓말”…소액주주, 檢 수사 촉구
- 6車 부품사 1분기 버텼지만…변수는 ‘2분기’
- 7역대급 실적에도…금융지주, 침체기 방어 전략 '분주'
- 8MS ‘AI 끼워팔기’ 논란…공정위 조사 ‘하세월’
- 9‘만년 적자’ SSG닷컴…‘전국 새벽배송’ 승부수
- 10“유심 재고 없다”…SKT, ‘해킹 포비아’ 확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