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실상환자 마저”…위험수위 다가선 가계부채

[앵커]
고금리 시대가 지속되면서 중저신용자는 물론 성실상환자까지 한계에 봉착한 상황이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습니다. 최근 이들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급상승 중인데, 이제는 경제에도 충격을 줄 가능성 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민세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빚을 스스로 변제하지 못하고 채무조정에 손을 뻗는 차주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양정숙 무소속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올 상반기 채무조정 신청자 수는 9만1,981명으로 올 상반기에만 지난 한해 전체 신청자(13만8,202명)의 70%에 달하는 수요가 몰렸습니다.
채무조정 대상자들의 대출기관을 살펴보면, 신용카드사(39.2%)와 대부업체(26.8%)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현재 카드론과 대부업권의 평균금리가 15%대에 육박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고금리 대출에 시달리는 '중저신용자'가 많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연체 기간별로 살펴보면, 30일 이하 단기 연체자 대상 '신속채무조정'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데, 연체율 현황을 감안하면 이들이, 연쇄적으로 프리·개인워크아웃으로 옮겨가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우려가 커집니다.
통상 채무조정은 연체율의 후행지표로 여겨지는데, 올 상반기 5개 카드사의 연체율(1.3%)은 이미 1%를 넘었고, 대부업권도 10%대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성실상환자마저 상황이 심상치 않다는 점입니다.
상반기 성실상환자 소액대출 신청자는 2만3,264명으로, 연말까지 지난해 신청자 수(4만4,671명)를 뛰어넘을 가능성이 높고, 연체율(10.9%)도 두 자릿수로 뛰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지난달 가계대출 잔액이 사상 최고치를 찍는 등 대출 규모는 계속 늘고 있어, 전문가들은 가계부채 정상화가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싱크]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가계부채를 줄이지 않고는 힘들어요. 소비가 줄잖아요. 그다음에 환율에 영향을 미치거든요. 순수출이 줄어요. 가계부채 때문에 (한국 경제가) 성장을 못하고 있는 거죠."
무분별한 유동성 공급보다는 대출 잔액·부실 규모 줄이기에 집중해, 가계대출 건전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서울경제TV 민세원입니다. /yejoo0502@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국장 탈출은 지능순?"…올해 코스피 6% 올랐다
- '리딩금융' KB, '리딩뱅크' 신한銀 품으로…4대 지주 5조 육박 순익
- 'KB·롯데' 카드사 본인확인서비스 잇달아 중단, 왜?
- 우리은행, 美 상호관세 관련 ‘위기기업선제대응 ACT’ 신설
- 교보생명, SBI저축銀 인수 추진…지주사 전환 속도
- 태국 가상은행 인가전 뛰어든 '카뱅'…27년 장벽 허무나
- ‘K패션’ 부흥기…신흥 브랜드 상장 흥행 여부 '주목'
- 우리금융 1분기 순익 6156억원…전년比 25% 감소
- IBK기업은행 1분기 순익 8142억원…중기대출시장 점유율 24% 넘었다
- BNK금융 1분기 순익 1666억원…전년比 33.2% 감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국장 탈출은 지능순?"…올해 코스피 6% 올랐다
- 2“최장 6일”…여행·면세업계, 5월 황금연휴 특수 노린다
- 3'리딩금융' KB, '리딩뱅크' 신한銀 품으로…4대 지주 5조 육박 순익
- 4中 BYD, 안방 모터쇼서 신차 대거 출품…“보급형부터 슈퍼카까지”
- 5'KB·롯데' 카드사 본인확인서비스 잇달아 중단, 왜?
- 6고창군, '고창갯벌 세계유산 지역센터 건립' 설계 용역 보고회
- 7고창군, 제131주년 동학농민혁명 무장기포기념제 개최
- 8경북테크노파크, 2025년 경북지역 기업지원 통합설명회 성황리 마무리
- 9대구행복진흥원, 제11기 꿈드림 청소년단 위촉식
- 10오경준 대구경북병무청장, 특수학교 경희학교 방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