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원주의대 백민석 교수 연구팀, 최근 국내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40세 이상 증가 추세 발표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률, 1,000명당 2006년(1.83명)→2015년(5.21명) 약 2.85배↑

[서울경제TV 강원=강원순 기자] 치매의 다양한 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매가 최근 국내 40세 이상 인구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30일,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백민석 교수 연구팀은 국내 알츠하이머 치매의 유병률 및 발병률의 최근 추세를 밝혀내고, 당뇨·고혈압 등의 요인이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6년부터 2015년 기간 동안 국내 40세 이상 남녀 2,000여명의 데이터를 추적·관찰했다.
그 결과 인구 1,000명당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률은 2006년 1.83명에서 2015년 5.21명으로 약 2.85배 상승했다.

고혈압과 고지혈증 질환군에서의 치매 발병률은 대조군(비질환군)에 비교해 높았으나, 해당 기간 동안 양 집단에서의 발병률 격차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한편 치매에 동반되는 혈관성·내과성 질환에 대한 치료 수준이 높아지면서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율 또한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기존 연구 결과들이 있었으나, 연구 대상자의 수가 적어 결과 해석에 제약이 있었다.
그러나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한 이번 연구결과에서는 국내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는 상반된 결과를 도출하면서,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치료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시사하게 됐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백민석 교수는 “우리나라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의 증가는 사회 고령화와 함께 치매의 조기진단률을 높이려는 정부 정책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부정적으로만 해석할 필요는 없다”고 하면서도 “알츠하이머 치매의 조기진단과 동반질환의 적극적인 치료를 위한 지역사회와 의료기관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SCIE급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인뉴롤로지’(Frontiers in Neurology) 2022년 5월호에 게재됐다./k1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구리시, 내일 유채꽃 축제 개막...'드라마 같은 꽃밭'
- 2SKT 유영상 “위약금 등 3년간 7조원 손실 예상”
- 3‘시총 5위’ 한화에어로…올해 K9·천무로 수출 ‘날개’
- 4두산에너빌·대우건설, 체코원전 계약 지연 ‘촉각’
- 5카카오, 1분기 실적 ‘주춤’…‘카나나’ 돌파구 될까
- 6'저속노화'에 외면받는 탄산음료…목표주가 '줄하향'
- 7동양생명 새 대표에 성대규 단장 물망…우리금융 선택은?
- 8고창군, 고향사랑기부제 ‘5월 1+1+1 통큰이벤트’ 진행
- 9'IPO 삼수생' 케이뱅크의 고심 …시장 냉각기·건전성 관리 변수
- 10GS리테일 ‘아픈 손가락’ 요기요…적자탈출 어쩌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