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마감시황]코스피, 美 긴축 우려 완화…2,970선 안착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코스피 지수가 외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에 2,970선에 상승 마감했다. 코스닥도 2%대 강세를 나타냈다.
간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긴축 가속화 우려감이 다소 완화되며 외국인과 기관들의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를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4%(45.10포인트) 오른 2972.48에 장을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525억원과 6066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특히 금융투자가 이날 6,070억 원을 사들이며 새해 들어 처음으로 순매수세로 전환했다. 반면, 개인이 1조718억원 어치를 팔아치웠다.
업종별로는 화학(3.75%) 비금속광물(2.29%) 증권(2.15%) 유통업(2.14%) 서비스업(2.10%) 등이 상승한 반면 건설업(-1.31%) 의료정밀(-1.24%)은 하락 마감했다.
한동안 부진을 면치 못한 네이버와 카카오 주가가 나란히 반등에 성공했다. 네이버는 전 거래일 대비 3.13% 오른 34만5,500원에 마감했다. 카카오도 전 거래일 보다 2.32% 오른 9만7,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시가총액 상위종목은 SK하이닉스(0.39%), 삼성바이오로직스(2.88%), LG화학(5.31%) 삼성SDI(5.10%), 현대차(0.48%) 등이 상승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상승한 종목은 730개, 보합 61개, 하락 140개로 집계됐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그동안 낙폭이 컸던 코스닥 지수가 IT 부품, 디지털 업종 반등 나타내며 코스피 대비 상승 우위를 나타냈다"면서 "'국가첨단전략산업 경쟁력 강화 및 보호에 관한 특별조치법안(반도체특별법)' 통과로 반도체 뿐만 아니라 백신, 2차전지까지 첨단산업 지원 확대 기대감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코스닥지수는 2.21%(21.41포인트) 상승한 991.33에 장을 마쳤다. 수급을 살펴보면, 기관이 1,324억원 어치를 사들였고, 외국인도 385억원 동반 매수에 나섰다. 반면, 개인은 1,640억원 어치를 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을 살펴보면, 셀트리온헬스케어(0.25%) 에코프로비엠(4.83%) 펄어비스(2.33%) 엘앤에프(9.17%) 카카오게임즈(2.34%) 위메이드(5.72%) 셀트리온제약(0.64%) 에이치엘비(2.85%) 씨젠(3.84%) 천보(5.94%) 등 상승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 시장에서 상승한 종목은 1,126개, 보합 80개, 하락 255개로 나타났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3.50원 떨어진 1,190.50원에 장을 마쳤다./hyk@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이익 늘었지만 부실 커진 하나카드…성영수號 첫 시험대
- 아닌 밤중에 블록딜?…한화오션 주주 '당혹'
- [이슈플러스] 우리금융 CET1 관리 통했다…비은행 강화 순항할까?
-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대한민국 창조경영 2025' 중기부 장관상 수상
- 4개 자산운용사, 금투협 정회원 신규가입
- 씨아이테크, 엠오디 흡수합병…AI 헬스케어 플랫폼 사업 본격화
- KB국민카드, ‘인천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얼리버드 티켓 판매
- NH농협은행, 영농철 맞아 충남 당진 육묘장서 일손돕기 실시
- 릴리바이레드, 신제품 ‘이슬잔광 컬렉션’ 올리브영 단독 출시
- KB국민은행, 7억 달러 규모 선순위 글로벌 채권 발행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 미디어아트전시관 '피오리움'…30일 개관
- 2남원시, 국악와인열차 타고 '남원 여행'…상반기 2,600명 유치
- 3남원시 광한서로, 보행환경 조성사업으로 '남원 품은 거리로 변화'
- 4남원시, 춘향제 기간 '공영주차장 59개소' 전면 무료 개방
- 5순창새마을금고, '전북새마을금고 경영평가 연도대상' 우수상 수상
- 6순창군, 5월 한 달간 '순창사랑상품권' 구매·적립 한도 상향 운영
- 7남원시의회, '신재생 에너지 자립도시 건설로 시민의 노후가 행복한 연구회' 발족
- 8서부지방산림청, 인구문제 개선 위한 '릴레이 캠페인' 참여
- 9고창군, 지방소멸대응기금 276억 원 투입 '청년 위한 정주 생태계 조성'
- 10BPA, 부산항 신항 내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들어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