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증시] ‘금리·긴축·환율’ 악재…불안 커진 코스피 0.76%↓

[서울경제TV=윤혜림기자]
[앵커]
새해 첫 주 국내 주식시장의 성적은 다소 부진했습니다. 주 초반 경기 회복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던 국내 증시는 금리 인상, 달러 강세 등이 부담으로 작용하며 큰 폭으로 하락 마감했는데요. 다만 오늘은 삼성전자와 LG전자 호실적에 힘입어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한 주간의 증시 흐름 윤혜림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지난 5일(현지시간) 공개된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참가자들은 기준금리 인상은 더 빠르게 실시되어야 한다는 데에 동의”하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이르면 3월부터 금리 인상을 시작할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이어 “거의 모든 참가자는 과거처럼 기준금리 인상 후 자산규모를 축소하는 절차에 동의해 자산 규모 축소는 이전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 적절하다”며 3분기 중 시행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미국 연준의 긴축 기조 강화에 뉴욕증시 급락,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높아지자 원달러 환율도 치솟아 달러당 1,200원선을 넘어서며 국내증시에 악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
이에 코스피는 한 주간 0.76% 하락한 2,954.89포인트, 코스닥은 3.75% 하락한 995.16포인트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 주간 수급 동향을 살펴보면 코스피는 개인(19,066)과 외국인(17,839)이 매수, 기관(-37,379)이 매도했으며, 코스닥은 개인(18,126)이 매수한 가운데 외국인(-7,491)과 기관(-10,251)이 매도했습니다.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국내 수요 둔화로 주가가 부진했던 철강주가 최근 반등했습니다. 철광석, 유연탄 가격 강세가 이어지고 2분기부터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자 이번 주 포스코, 동국제강 등 철강 관련주의 주가는 일제히 상승 마감했습니다.
오늘(7일) 유가증권시장에선 잠정 실적을 발표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지난 한 해 역대 최대 매출을 올렸다는 소식에 전 거래일 대비 각각 1.82%, 1.85% 상승 마감했습니다.
이재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미국 고용과 물가 지표 발표, 한국 금융통화위원회 등이 예정돼 있어 금리 인상을 지지해줄 가능성이 높다”며 “다음주 국내 증시 상단이 다소 제한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서울경제TV 윤혜림입니다. /grace_rim@sedaily.com
[영상취재 임원후]
[영상편집 김준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민병덕, '디지털자산기본법' 초안 공개…가상자산 논의 속도
- 쎄크 상장…오가노이드사이언스 청약·달바글로벌 등 수요예측
- 한국 주식시장 등지는 외국인…9개월 연속 39조원 팔아치워
- '리딩금융' KB, '리딩뱅크' 신한銀 품으로…4대 지주 5조 육박 순익
- "국장 탈출은 지능순?"…올해 코스피 6% 올랐다
- 'KB·롯데' 카드사 본인확인서비스 잇달아 중단, 왜?
- 우리은행, 美 상호관세 관련 ‘위기기업선제대응 ACT’ 신설
- 교보생명, SBI저축銀 인수 추진…지주사 전환 속도
- 태국 가상은행 인가전 뛰어든 '카뱅'…27년 장벽 허무나
- ‘K패션’ 부흥기…신흥 브랜드 상장 흥행 여부 '주목'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디야커피, 봄 시즌 ‘커피 다이닝’ 흥행…80% 예약률
- 2신세계사이먼 부산 프리미엄 아울렛, 프리미엄 콘텐츠 강화
- 3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
- 4롯데百, ‘포켓몬’ 팝업스토어…황금연휴 정조준
- 5GS샵, 신규 셀럽 프로그램 ‘성유리 에디션’ 론칭
- 6풀무원재단, 퇴직 공무원 위한 ‘시니어 바른먹거리 교육’ 전개
- 7CU, ‘강릉 툇마루’ 흑임자 디저트 출시
- 8"일론 머스크의 xAI 홀딩스, 28조원 규모 투자유치 추진"
- 95월 황금연휴 해외여행…내수위축에 소상공인 '울상'
- 10올해 1분기 팔린 현대차·기아 SUV 10대 중 4대는 하이브리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