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증시]美 금리 인상 우려에도 코스피 강세 이어가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앵커]
5개월 만에 전고점을 돌파한 코스피가, 미국의 조기 금리 인상 우려에도 강세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코스닥 역시 1,000선을 회복한 뒤 꾸준한 상승흐름을 이어가는 모습인데요, 한 주간의 증시 흐름 앵커리포트에서 정리해 드립니다.
[기자]
오늘(18일) 코스피, 코스닥 양 시장은 상승 마감에 성공했습니다. 미국의 긴축 우려가 잦아든 가운데 중국 당국의 산업용 금속 방출 계획이 기술주 상승으로 이어지며 국내 증시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현지시간 16일 연방준비제도(연준)은 기준금리 동결 및 현재 완화적 통화 기조를 이어갈 것을 밝힌 가운데 2023년 첫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을 시사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물가 상승 압력에 따른 연준의 기조 변화는 어느정도 예견된 것이었다는 시장의 평가로 큰 충격은 없었습니다.
오늘(18일) 기준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은 27.4%로 접종률 상승에 따른 경제 정상화 기대감이 함께 커지는 모습도 보였습니다.
이에 이번주 코스피 코스닥은 각각 0.57% 2.50%의 주간 상승률을 보여줬습니다. 코스피는 5개월 만에 최고점을 3,281선으로 높였고, 코스닥 역시 1,015포인트 선을 회복했습니다.
한 주간 수급 동향을 살펴보면 코스피는 기관(-9,376)이 매도한 가운데 개인(8,953)과 외국인(1,042)이 매수에 나섰고, 코스닥은 기관(-890)과 외국인(-9,029)이 매도했지만 개인(10,197)이 강하게 매수하며 시장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테이퍼링 우려 선반영 등으로 카카오와 NAVER 등 인터넷 기술주들의 상승이 이어졌습니다. 특히 카카오는 카카오뱅크 기업공개(IPO)와 콘텐츠 사업 부분의 성장성 부각, 카카오커머스와의 합병 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며 52주 신고가를 15만7,500원까지 높이며 시가총액 3위 자리를 지켰습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올라가고 정부의 거리두기 제한 완화 방침이 전해지며 엔터주가 상승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특히 콘서트장을 비롯한 대중음악 공연에 대해 기존 100명 미만에서 최대 4,000명까지 방역 수칙을 완화하기로 하며 에스엠, 하이브 등이 연일 상승 랠리를 이어갔습니다.
증권업계는 6월 FOMC가 다소 매파적이었지만 3분기는 물가 하향 안정시기라는 점에서 연준의 통화정책이 3분기 주식시장의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어 단기적으로는 보다 성과가 가시화 되고 있는 리오프닝 관련주를, 3분기 전체로 본다면 비메모리 반도체와 IT, 자동차 등에 대한 접근을 조언했습니다. 서울경제TV 서정덕입니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이익 늘었지만 부실 커진 하나카드…성영수號 첫 시험대
- 아닌 밤중에 블록딜?…한화오션 주주 '당혹'
- [이슈플러스] 우리금융 CET1 관리 통했다…비은행 강화 순항할까?
-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대한민국 창조경영 2025' 중기부 장관상 수상
- 4개 자산운용사, 금투협 정회원 신규가입
- 씨아이테크, 엠오디 흡수합병…AI 헬스케어 플랫폼 사업 본격화
- KB국민카드, ‘인천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얼리버드 티켓 판매
- NH농협은행, 영농철 맞아 충남 당진 육묘장서 일손돕기 실시
- 릴리바이레드, 신제품 ‘이슬잔광 컬렉션’ 올리브영 단독 출시
- KB국민은행, 7억 달러 규모 선순위 글로벌 채권 발행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 미디어아트전시관 '피오리움'…30일 개관
- 2남원시, 국악와인열차 타고 '남원 여행'…상반기 2,600명 유치
- 3남원시 광한서로, 보행환경 조성사업으로 '남원 품은 거리로 변화'
- 4남원시, 춘향제 기간 '공영주차장 59개소' 전면 무료 개방
- 5순창새마을금고, '전북새마을금고 경영평가 연도대상' 우수상 수상
- 6순창군, 5월 한 달간 '순창사랑상품권' 구매·적립 한도 상향 운영
- 7남원시의회, '신재생 에너지 자립도시 건설로 시민의 노후가 행복한 연구회' 발족
- 8서부지방산림청, 인구문제 개선 위한 '릴레이 캠페인' 참여
- 9고창군, 지방소멸대응기금 276억 원 투입 '청년 위한 정주 생태계 조성'
- 10BPA, 부산항 신항 내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들어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