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뷰티사이언스“자외선 차단 소재 분야 글로벌 Top 5 목표”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 “자외선 차단 소재 분야에서 글로벌 TOP 5를 목표로 성장의 박차를 가하겠다”
코스닥 시장 상장을 추진하고 있는 화장품 원료 제조 전문 기업 선진뷰티사이언스(대표이사 이성호)가 7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향후 사업 계획과 비전을 밝혔다.
이성호 대표이사는 “공모를 통해 확보한 자금은 안산공장 제조시설을 장항공장으로 이전하는 등 대부분 장항공장에 대한 시설 투자에 활용될 예정”이라며 “코스닥 상장을 통해 한 단계 더 성장하며 고객과 투자자들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선진뷰티사이언스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난 1988년 설립된 화장품 원료 제조 전문 회사로, 자외선 차단제, 색조 화장품, 스킨케어 제품 등에 사용되는 원료 제조업을 주 사업으로 하고 있다. 로레알, 샤넬 등 글로벌 화장품 기업에 원료를 납품하는 등 매출 대부분이 해외시장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지난 2020년에는 3천만불 수출탑을 수상했다.
회사의 주요 제품은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 색조 화장품, 스킨케어 제품에 들어가는 원료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화장품 소재 매출 연평균 성장률(CAGR) 16.83%를 기록했다. 특히 자외선 차단 소재와 스킨케어 소재 매출 CAGR은 각각 23.11%, 40.79%를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선진뷰티사이언스 장항공장은 국내 화장품 소재 업계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현장 실사를 무결점으로 통과해 NAI(별도 조치 불필요) 승인을 받은 바 있다. 완제품 업체들이 FDA 승인을 얻지 못한 원료 구입을 원천 배제하고 있어 FDA 승인 획득 여부는 원료 업체의 경쟁력과 직결된다.
회사는 FDA 인증과 혁신적인 R&D 역량 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계획하고 있다. 올해 3분기 누적 연결기준 매출액은 357억 2,400만 원, 영업이익은 36억 1,700만 원, 당기순이익은 28억 8,000만 원을 기록했다.
선진뷰티사이언스의 총 공모주식 수는 1,835,000주로 신주매출 66.8%, 구주매출 33.2%다. 주당 희망 공모가 밴드는 10,100원~11,500원이며, 공모금액 규모는 밴드 최상단 기준 약 211억 원 이다. 오는 12~13일 수요예측을 통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18~19일 일반 공모청약을 실시할 예정이다. 상장 예정일은 1월 27일이며, 주관사는 신한금융투자와 삼성증권이다.
■ 국내 유일 FDA 인증 화장품 원료 제조 기업…각종 규제 곧 기회 될 전망
선진뷰티사이언스는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 화장품 소재 관련 규제 움직임을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다. FDA가 회사의 주력 생산 품목인 산화아연(Zinc Oxide)과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을 안전하고 효과적인 소재로 지정했기 때문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FDA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을 일반의약품(OTC Drug)으로 분류해 관리·감독하고 있다. 2019년 2월 26일부터 FDA는 자외선 차단 소재가 GRASE(Generally Recognized Safe and Effective, 안전성과 효과성이 증명됨)해야 한다는 기준을 마련했다. 또한 2021년부터 미국 하와이 주를 포함한 세계 각지에서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에 사용되는 옥티녹세이트(Octinoxate)와 옥시벤존(Oxybenzone)의 사용을 금지하는 아일랜드 밴(Island Ban) 법안이 발효된다.
거의 모든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에는 옥티녹세이트와 옥시벤존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아일랜드 밴 법안 발효 이후 두 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가 시장에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FDA가 GRASE룰에 따라 지정한 산화아연과 이산화티탄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회사는 2019년 기준 전체 자외선 차단제 시장 점유율의 22%를 차지하고 있는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보고 산화아연과 이산화티탄의 생산비중을 높이고 있다.
2019년까지 약 500억 원을 투입해 준공한 장항공장은 FDA에서 진행하는 현장실사를 무결점으로 통과한 바 있다. 업계에서 향후 FDA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화장품 소재 업체를 배제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FDA 승인을 얻은 선진뷰티사이언스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 혁신적 기술 및 R&D 역량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업계 트렌드 선도
선진뷰티사이언스는 화장품 소재 분야에서 나노 기술, 캡슐화 및 복합화 기술 등 소재의 융복합화를 주도할 수 있는 다양한 혁신적 기술과 연구개발 능력을 갖추고 있다. 유럽, 미국, 일본 등 해외 화장품 소재 업체들은 한 두 가지 분야의 기술에 특화 및 전문화되어 있다. 반면 회사는 다양한 기술을 확보하고 있어 화장품 소재의 융복합화를 통해 트렌드를 선도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회사는 세계 최초이자 단독(Global First & Only) 보유 중인 기술 포트폴리오도 갖췄다. 캡슐화 및 복합화 기술을 바탕으로 양산하고 있는 무기계 자외선 차단 실리카 캡슐(동사 제품명 SUNSIL Tin50 시리즈)이 대표적이다. 또한 나노 분체 형상 조절 기술을 토대로 만든 막대형 논나노 산화 아연을 생산했고 헥토라이트 기반 세라마이드 처방 기술도 세계 최초로 만들었다.
한편,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수년간 확보한 글로벌 고객사 네트워크를 통해 시장 트렌드에도 대응하고 있다. 여러 군데 고객사의 요청을 취합 후 공통된 요구 사항에 주목해 트렌드를 예상하고 융복합 등 혁신적 기술을 통해 신속히 대응하고 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민병덕, '디지털자산기본법' 초안 공개…가상자산 논의 속도
- 쎄크 상장…오가노이드사이언스 청약·달바글로벌 등 수요예측
- 한국 주식시장 등지는 외국인…9개월 연속 39조원 팔아치워
- '리딩금융' KB, '리딩뱅크' 신한銀 품으로…4대 지주 5조 육박 순익
- "국장 탈출은 지능순?"…올해 코스피 6% 올랐다
- 'KB·롯데' 카드사 본인확인서비스 잇달아 중단, 왜?
- 우리은행, 美 상호관세 관련 ‘위기기업선제대응 ACT’ 신설
- 교보생명, SBI저축銀 인수 추진…지주사 전환 속도
- 태국 가상은행 인가전 뛰어든 '카뱅'…27년 장벽 허무나
- ‘K패션’ 부흥기…신흥 브랜드 상장 흥행 여부 '주목'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쿠팡, 100회 수명 마친 ‘로켓 프레시백’ 파렛트로 재탄생
- 2현대그린푸드, 청년 농부 지원 확대…“온·오프라인 판로 넓혀”
- 3빚으로 내수침체 버티는 자영업자들…소득 대비 부채 2년 만에↑
- 4우재준 의원,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 발의
- 5경기 악화에 1분기 신용카드 연체율 10년만에 최고
- 6이디야커피, 봄 시즌 ‘커피 다이닝’ 흥행…80% 예약률
- 7신세계사이먼 부산 프리미엄 아울렛, 프리미엄 콘텐츠 강화
- 8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
- 9롯데百, ‘포켓몬’ 팝업스토어…황금연휴 정조준
- 10GS샵, 신규 셀럽 프로그램 ‘성유리 에디션’ 론칭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