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코로나19 낙관론 꺾이나... 상승 멈춘 뉴욕증시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의 중국 내 확진자와 사망자가 급증하며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 중국 내 통계 기준 변화에 인한 것이지만,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며 연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던 뉴욕 증시에 제동이 걸렸다. 국내 증시 역시 낙관론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
1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8.11포인트(0.43%) 내린 2만9,423.31에 거래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와 나스닥은 각각 전 거래일보다 5.51포인트(0.16%) 내린 3,373.94에, 13.99포인트(0.14%) 하락한 9,711.97에 장을 마치며 상승 행진을 멈췄다. 중국내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 수가 806%, 157% 급증했다는 소식과 일본에서 사망자가 나왔다는 소식 탓이다.
일본에서 처음으로 중국인이 아닌 사망자가 나왔다. 해외에 나간 사실이 없는 여성으로, 중국인을 태운 택시기사 장모다. 이 여성은 사망 후에 코로나19 감염 사실이 확인됐다.
증권업계 관계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이 정점을 지난 것으로 판단했지만,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 다시 올 수 있다고 이야기 한다.
안소은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 증감에 따라 금융시장이 등락하면서 감 염병 확산에 대한 경계가 계속되고 있다”며 “경기 측면에서는 이제부 터 코로나19의 영향을 본격적으로 확인하는 시기가 될 것”이라 전망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 역시 "코로나19에 대한 낙관론에 단기적 제동이 걸릴 수 있다"며 "이로 인한 경기불안심리가 커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확진 추이를 다시금 지켜 보며 개별 종목 장세를 대비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 “미국 행정부가 중국 통계에 확신이 없다고 발표한 점 등이 자칫 미중 무역협상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다”며 이에 국내 증시는 개별 기업 이슈에 등락하는 종목 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smileduck29@sedail.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iM증권, 1분기 당기순이익 259억원…5분기 만에 '흑자 전환'
- 키움증권, 1분기 영업익 3254억원…전년 동기 대비 3.77%↓
- 비에이치아이, 올해 누적 수주 1조2000억원 돌파
- 와이즈에이아이, A2A 기반 AI 플랫폼으로 병의원 공략 가속
- 금융당국·업계, SKT 유심정보 유출사고 긴급회의…비상대응본부 운영
- 우리금융, 신종자본증권 4000억원 발행 성공
- 하이브, 실적 성장성+리레이팅 가능성…"매력적 구간"-NH
- 이익 늘었지만 부실 커진 하나카드…성영수號 첫 시험대
- 아닌 밤중에 블록딜?…한화오션 주주 '당혹'
- [이슈플러스] 우리금융 CET1 관리 통했다…비은행 강화 순항할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