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대주주가 팔면 고점이다” 미국에선 없는 일

‘대주주가 팔면 고점이다’
주식 시장에서 불문율처럼 여겨지는 공식이다.
최근 최대주주가 보유주식 100만주를 팔아치운 조광ILI의 주가는 열흘만에 반토막이 났다.
‘미세먼지 테마’로 단기간 주가가 뜨겁게 달아 오른 위닉스도 창업주의 40만주 매도에, ‘이낙연 테마주’로 급등한 남선알미늄도 그룹 회장의 250만주 매도에 속절없이 추락했다.
특히 이들은 하필 주가 급등 시점에 지분을 팔아 수백억 원의 차익을 얻어 ‘신규 사업을 위한 자금 확보 차원’에서 매도했다는 설명은 변명으로 여겨질 뿐이다.
악재 공시가 나오기 직전 주식을 대량 처분한 제이에스티나 오너 일가의 ‘수상한 지분매각’ 사례는 불공정거래 혐의로 검찰에 넘겨지기까지 했다. 역시 주가는 급락세다.
소위 개미로 일컬어지는 개인투자자들의 분노는 극에 달하고 있다. 시장이 안 좋고 악재가 나온 상황에서 주가 관리에 책임이 있는 오너가 대주주 매도라는 추가 악재를 던지고 나갔다는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도 미국처럼 ‘내부자거래 사전신고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은 증권법상 최대주주 등이 지분을 매각하기 전 금융감독당국에 지배증권 매도신고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한다. 또 임원, 주요주주 등 내부자는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로 처벌받지 않기 위해 관련 주식을 매매할 때 사전적 거래계획을 작성해 면책적 효력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내부자거래 사전 예방제도로 인해, 제이에스티나와 같은 불공정거래 의혹 사례가 미국에서는 매우 드물다고 한다. 우리 주식시장에서는 대주주 지분매각의 투명성이 확보되지 못한 상황에서 매각 후 주가 폭락으로 이어져 투자자들의 불신이 잦아들 수 없는 것이다.
우리도 국내 실정에 맞는 내부자의 사전적 거래계획 제도 및 지배증권 매도신고서 제도를 도입해 최대주주 등 내부자의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에 대한 예방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양한나기자 one_shee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박땅꾼의 땅땅땅] 왜 토지투자를 할까? 목표에 따라 전략이 달라진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정부 정책을 따라간다
- [이지연의 스마트 스피치] 자발적 IR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필요성과 효과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사람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1시간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무모한 도전이 될까, 위대한 도전이 될까?
- [대박땅꾼의 땅땅땅] 꼼꼼히 준비해야 하는 지목변경
- [대박땅꾼의 땅땅땅] 기획부동산을 조심하자
- [기고] 국가인재생태계 개혁 없다면, 대한민국 미래는 없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3,000만 원짜리 토지 투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변 없었던 민주당 호남경선...'어대명' 한 발 다가서
- 2더불어민주당 호남권 경선...이재명 88.69% 압승
- 3“도자기의 색, 이천의 빛” 이천도자기축제 개막
- 4모두를 위한 무장애 관광
- 530일 팡파르…'소리'로 세계를 열다
- 6이창용 "美中 관세협상 안되면 90일 유예 연장돼도 경제비용 커"
- 7대한노인회 남원시지회, 제28회 지회장기 노인게이트볼 대회 성료
- 8한국마사회, 승용마 번식 지원 사업…80두 규모 무상 지원
- 9김해공항~중앙아시아 하늘길 열린다…부산~타슈켄트 6월 취항
- 10"제29회 기장멸치축제 즐기러 오세요"…25~27일 대변항서 축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