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디지털 디바이드 심화…70대↑ 6%만 모바일뱅킹 쓴다

모바일뱅킹을 이용한다는 70대 이상 노인이 10명 중 1명꼴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은행의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 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70대 이상 응답자 중 일반은행의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최근 3개월 이내에 이용했다고 답한 이는 6.3%에 그쳤다.
30대의 87.2%, 40대의 76.2%가 ‘이용했다’고 응답한 것과 크게 대비되는 수치다. 50대까지만 해도 이 비중은 51.0%로 과반을 유지했지만, 60대에선 18.7%로 떨어지는 등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이용률이 급감했다.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을 이용한다는 70대 이상 노인은 0.1%로 거의 없었다.
정보기술(IT) 발전에 수반한 연령별 ‘디지털 디바이드’ 현상이 금융서비스에서 극단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일반은행의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답한 이유로 70대 이상 고령층은 ‘들어본 적이 없다’(58.8%)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복잡한 금융상품 설명(20.0%), 불편한 가입 및 이용절차(10.6%) 등의 이유가 뒤를 이었다.
반면 일반은행의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한다고 한 전체 응답자들은 편리한 이용절차(43.0%), 다양한 혜택(24.7%), 지점 방문의 어려움(19.6%) 등을 이유로 꼽았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해 10월∼12월 19세 이상 성인 2,597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코스피 2540대 강보합 마감…코스닥 1.4% 하락
- KB국민은행, 청소년 맞춤 멘토링 ‘KB라스쿨’ 발대식 개최
- 우리은행, 원티드랩과 외국인 구인·구직 서비스 강화 업무협약
- BNK부산은행, 백혈병 소아암 어린이 돕기 ‘사랑나눔 걷기대회’ 후원
- 하나은행, 군인 전용 비대면 대출 ‘하나원큐신용대출’ 출시
- 한국투자증권, 여의도에 초대형 디지털 사이니지 ‘키스 스퀘어’ 구축
- 와이즈에이아이, 에이유·덴트온 등 AI 직원 도입처 300곳 돌파
- 케이지에이-삼성스팩9호, 합병 확정…6월 18일 코스닥 상장
- 비에이치아이, 필리핀서 5200억원 규모 CFBC 보일러 수주
- 우리카드, '2025년 고객패널 발대식'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