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해외제작 영화에 100% 관세 부과 추진
경제·산업
입력 2025-05-05 16:56:56
수정 2025-05-05 16:56:56
김도하 기자
0개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SNS 트루스소셜에 "미국 영화 산업은 매우 빠르게 소멸하고 있다"며 상무부와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외국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도록 지시했다고 게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할리우드에 대한 외국 정부의 인센티브 제공에 대해 "다른 국가들의 조직적인 시도이고, 미국 안보에 대한 위협"이라고 말했다.
이어 "할리우드와 미국 내 다른 지역들은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우리는 미국에서 제작된 영화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영국과 캐나다 등 외국 정부가 미국의 영화 제작사들을 상대로 각종 인센티브를 제시하면서 자국으로 유인하는 현상이 미국의 영화산업에 타격이 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올해 최고의 흥행작으로 꼽히는 '마인크래프트 무비'는 캐나다에서 촬영됐고, 올여름 블록버스터로 기대되는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도 대부분 미국 바깥에서 촬영됐다. 특히 영국 런던은 할리우드 영화 촬영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디즈니 마블 스튜디오는 2편의 어벤져스 속편을 런던에서 촬영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특정 품목의 수입이 국가 안보를 위협할 경우 관세 부과 등으로 수입을 제한할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영화에 대한 관세 부과가 실제로 어떻게 이뤄질지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외국에서 촬영된 미국 영화를 '수입품'으로 정의할 기준과 함께 관세를 적용할 영화의 가치 산정 기준도 정해야 한다.
또 외국이 미국 영화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경우 할리우드에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할리우드의 흥행작들은 외국 시장에서 수익의 상당 부분을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itsdoha.k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국 어린이 인구 비율 10.6%…인구 4000만이상 국가 중 '꼴찌'
- 공유숙박 3년만에 20배로 성장…청년 사업자 수입 4400만원
- 3기 신도시 분양가 최대 1억 올라도 인기…남은 청약 일정은
- SKT, 오늘부터 대리점 신규가입 금지…"유심 교체 100만명"
- 서울 아파트 거래 급감…전월세도 동반 하락
- 가전 온라인 침투율 54% 육박…가전·가구 온라인 구매 성장세
- 1분기 건설생산 20.7%↓…건설수주도 '마이너스' 전환
- “지속가능 다이어트 대세”…남양유업, 저당·제로 제품군 확대
- 관세 협상 카드 된 구글 ‘정밀 지도’…네카오 우려
- SKT "유심보호서비스 1991만명 가입…교체 95만여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