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2023년도 국비 8조7350억 원 확보, 새로운 성장축인 국가 균형발전 및 지역 경제동맹 구축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가덕신공항 조속 건설 등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물 공급체계 구축

[서울경제TV 부산=김정옥 기자] 부산시가 역대 최대 국비를 확보해 글로벌 허브도시 대도약의 원년 발판을 마련했다.
부산시는 2023년도 최종 국비 지원 규모가 8조7350억 원으로 올해 8조1592억 원보다 5천758억 원(7.1%) 늘어났다고 26일 밝혔다.
당초 정부예산안과 비교해 이번 국회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물 공급체계 구축(19.2억 원) △가덕신공항 조속 건설(130억 원)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254.5억 원) △도시철도 하단-녹산선 건설(25억 원) △무가선 저상트램 실증(오륙도선) 건설(17.4억 원) △조선기자재업체 공동납품 플랫폼(11.2억 원) △해양레저 안전체험관 건립(7.5억 원) △그린스타트업 타운 조성(5억 원) △해양수산기자재 시험인증센터 구축(2억 원) 등 부산시 주요 사업이 극적으로 추가 증액 및 신규 반영됐다.
이는 정부 건전재정 기조와 부산지역 출신 예결위 소위위원 부재라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예산 확보 논리를 보완해 정부와 여야 정치권 모두에 전달하고 설득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내년 예산안 국회 심의 중에 박형준 시장이 국회를 직접 방문해 여·야 원내지도부, 예결위원장, 예결위 양당 간사, 예결위원, 예산실장 등 국회 예산 결정 과정의 핵심 인사를 모두 만나 지역의 어려운 경제 현안을 설명하고 사업 하나라도 더 예산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로 관심과 반영을 요청했던 것이 주요했다는 평가다.
638조7000억 원(전년 대비 5.1%↑)으로 편성된 2023년 국회 최종 예산 중 지역과 관련된 산업, 사회 간접 자본(SOC) 분야가 대폭 감액된 것과 비교할 때 부산시의 전년 대비 국비 증가율 7.1%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최대로 확보한 성과로 분석된다.
시는 역대 최대 국비 확보를 위해 국가 균형발전 및 지역 경제동맹 구축, 도시 경쟁력 제고, 시민 삶의 질 향상에 역점을 뒀다.
따라서 국비 8조7000억 원 시대를 열면서 부산의 새로운 도시 비전인 ‘그린스마트 도시 부산’을 본격 실현할 수 있게 됐다.
부산시의 주요 핵심사업인 가덕신공항 조속 건설 130억 원,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254억5000만 원, 2023년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최 52억 원 등을 편성했다.
부울경 경제동맹 구축 및 상생발전을 위해 부산신항~김해 간 고속도로 건설 783억8000만웑 원, 동김해 IC~식만 JCT 광역도로 건설 35억 원, 부울경 수소배관망 구축 1억 원을 확보했다.
또 도시철도 하단~녹산선 건설 25억 원, 황령3터널 도로개설 27억1000만 원, 무가선 저상트램 실증(오륙도선) 건설 17억4000만 원, 식만~사상간(대저대교) 도로건설 154억7000만 원, 내부순환(만덕~센텀) 도시고속화도로 건설 152억 원, 엄궁대교 105억1000만 원 등이 반영됐다.
도시 경쟁력 제고에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RIS) 300억 원,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랩 실증단지 조성 89억 원, 재사용 배터리 적용 이(E)-모빌리티산업 생태계 활성화 16억2000만 원, 미래차 전환 전동화 부품 기본설계 및 성능검증 지원 기반구축 10억2000만 원 등이다.
주력산업의 고도화 및 디지털 전환, 지산학 중심 창업금융도시 추진과 관련 조선기자재업체 공동납품 플랫폼 11억2000만 원, 그린스타트업타운 조성 5억 원, 산단환경개선펀드사업 150억 원, 사상공업지역 재생사업 80억 원, 창업중심대학 67.5억 원을 편성했다.
해양·항만 중추 기능 지속 확보로 글로벌 해양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부산 마리나비즈센터 건립 50억8000만 원, 스템(STEM) 빌리지 조성 48억9000만 원, 해양레저 안전체험관 건립 7억5000만 원 등을 확보했다.
어항 개발 및 수산업 고부가가치화 지원에 다대포항(국가어항) 개발 10억 원, 백양산 자연휴양림 조성 5억 원, 해양수산기자재 시험인증센터 구축 2억 원,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 114억 원, 어촌뉴딜사업 87억5000만 원, 수산식품 클러스터 조성 11억 원, 해양수산창업투자 지원 11억 원 등을 반영했다.
시는 국회 예산심의 단계에서 공정혁신 시뮬레이션센터 구축 30억 원이 반영된 만큼 지역 산단 내 제조업의 경영난 극복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내년도 공모사업 선정 등을 위해 철저히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공공임대주택 건설 지원 504억 원, 도시철도 노후전동차 교체 지원 181억 원, 특별교통수단(두리발) 확충·운영 109억9000만 원, 저상버스 도입 109억5000만 원, 부산의료원 호흡기 전담센터 확충 20억 원, 중증외상전문진료센터 구축 61억 원,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30억2000만 원 등을 확보했다.
재난재해 선제 대응으로 문현지구, 다대지구, 금사1지구 풍수해·자연재해위험지 정비 각 12억8000만 원, 5억6000만 원, 4억 원, 학장·감전2지구 자연재해위험지 정비 35억 원, 덕천교차로지구 상습침수지 정비 34.9억 원, 민락1지구 자연재해위험지 정비 14억2000만 원 등을 편성했다.
국제관광도시 육성사업 95억7000만 원, 제106회 전국 체육대회 개최 80억 원, 2024 세계탁구선수권대회 41억8000만 원, 국민체육센터(사상구, 강서구, 서구, 동래구 각 1개소) 건립 52억 원 등이다.
저탄소, 녹색친화 사업으로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물 공급체계 구축 19억2000만 원, 수소전기차 구매보조 지원 450억 원, 생곡매립장 탄소중립설비 설치 2억1000만 원, 기후대응도시숲 조성 38억5000만 원, 평화공원 화합의 뜰 조성 10억 원, 강변·영도하수 등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8억9000만 원 등을 확확정했다.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은 530만 부산, 경남 시민의 생존권이 달린 문제로 30년간 해결되지 않았던 깨끗한 물 공급이 이번 국비 확보를 통해 해결될 수 있게 됐다.
이외에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237억4000만 원, 자원순환(post-플라스틱) 클러스터 조성 189억2000만 원 등도 반영돼 ‘부산 먼저 미래로 그린스마트 도시 부산’ 비전 실현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박형준 시장은 “대전환의 시대에 국가 성장을 가로막는 위기의 원인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방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국비 8조7000억 원 시대 개막은 부산이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부산이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다시 도약하도록 핵심 사업들을 내실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kjo571003.naver.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