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 ’2023년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 0.9% 증가 전망

전국 입력 2022-12-23 12:39:59 수정 2022-12-23 12:39:59 김정옥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러시아 사태 지속, 글로벌 소비 둔화 등 물동량 하방 압력 심화

부산항만송사 전경.[사진 제공=BPA]

[서울경제TV 부산=김정옥 기자] 부산항만공사(BPA)는 24일 내년 부산항 물동량을 전년 대비 약 0.9% 증가한 약 2,231만TEU로 전망했다.

 

수출입 물동량은 0.7% 증가한 1038만TEU, 환적 물동량은 1.1% 증가한 1193만TEU다.

 

2023년도 수출입 물동량 전망치는 지난 10개년 부산항 월별 물동량을 반영한 자체 시계열 예측기법(ARIMA)으로 추정했다.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는 시계열 데이터 기반 예측분석 기법 중 하나로 자기회귀 누적이동평균 모형을 말한다.

 

BPA는 부산항 전체 컨테이너 화물의 약 54%를 차지하는 환적화물은 부산항 이용 선사들의 전망치를 집계, 전년대비 1.1% 증가한 약 1193만TEU로 추정했다.

 

환적 화물은 선사의 선대 운영 계획에 따라 물량이 크게 변화므로 시계열 예측기법 적용이 불가해 부산항 전체 환적화물의 98% 이상을 처리하는 20개 선사의 전망치를 활용했다.

 

올해 부산항 물동량은 러시아 사태, 글로벌 인플레이션 심화로 인한 수요 둔화 지속 등 물동량 하방 압력으로 인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중국, 미국 화물 비중이 각각 28%, 15%(2021년 기준)로 상당히 높아 중국의 고강도 방역 정책과 북미 지역 소비재 수요 감소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러시아 화물이 감소한 것도 주요 물동량 하락 원인이다.

 

글로벌 수요 둔화 현상으로 인해 글로벌 20대 항만 중 중국 7개 항만을 제외하면 13개 항만 가운데 10개 항만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BPA는 22년 감소한 물동량을 다시 끌어올리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을 펼치고 있다.

 

올해 9월 MSC, Hapag Lloyd 등 글로벌 선사 본사를 직접 방문했고, 선사 한국 대표자 간담회 등을 통해 지속적인 부산항 마케팅을 하고 있다.

 

또 부산항 환적 물동량의 약 14% 차지하는 일본의 화주 기업을 타겟으로 지난 11월 일본 화주 기업이 약 300여명이 참석한 대규모 부산항 설명회를 개최한 바 있다.

 

최근 유엔무역개발협의회(UNCTAD)에서 발표한 항만연결성 지수에서 부산항은 전년 대비 2.8점(2.4%↑) 상승하며, 부산항을 둘러싼 부정적인 외부요인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허브 항만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강준석 BPA 사장은 “내년에도 신항 신규 컨테이너 부두 개발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항만 운영 효율화를 위한 정책을 모색하며 지속적으로 물동량을 유치할 수 있는 부산항만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kjo571003.naver.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정옥 기자

kjo571003@naver.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