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특례시, 내년 예산안‘3조6998억’ 편성… 올해 대비 2722억(7.94%) 증액

전국 입력 2022-11-22 13:02:03 수정 2022-11-22 13:02:03 김정옥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정주 환경 개선 및 미래대비 투자 확대를 통한 도시경쟁력 강화

창원시청 전경.[사진 제공=창원시]

[서울경제TV 부산=김정옥 기자] 창원특례시는 창원형 모듬 복지 실현, 민생경제 활력 회복 및 주민생활 환경 개선 등에 중점을 둔 2023년도 예산안을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22일 밝혔다.


창원시의 2023년도 예산안의 총규모는 3조6998억원으로 올해보다 2722억원 (7.94%)이 늘어난 규모다.

 

일반회계는 전년 대비 2693억원(9.06%)이 증가한 3조2410억원, 특별회계는 29억원(0.63%)이 증가한 4588억원이 편성됐다.

 

먼저 일반회계 주요 세입으로는 △지방세 수입 8684억원(504억원 증가), △세외수입 1418억원(5억원 감소), △국·도비보조금 1조3302억원(1866억원 증가), △지방교부세 6686억원(979억원 증가), △조정교부금 1293억원(739억원 감소)이다.

 

정부의 교부세 증가와 경제 회복 기대에 따라 가용한 재원을 최대한 반영했다.

 

일반회계 분야별 재원배분 현황을 살펴보면 △일반공공행정 1467억원(4.52%) △공공질서 및 안전 513억원(1.58%), △교육 357억원(1.10%), △문화및관광 2169억원(6.69%) △환경 1745억원(5.38%) △사회복지 1조3813억원(42.62%) △보건 540억원(1.67%), △농림해양수산 1794억원(5.53%), △산업·중소기업및에너지 1109억원(3.42%), △교통및물류 2218억원(6.84%), △국토및지역개발 1556억원(4.80%), △예비비 220억원(0.68%), △인건비 등 기타 4910억원(15.15%)이다.

 

주요투자 유형별로는 첫째 지역경제 활력 회복 및 청년인구 유출 방지를 위해 △누비전 운영 21억원, △중소기업 역량강화사업 24억원,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사업에 22억원 △청년 구직활동 지원 등 청년지원정책 21개 사업에 78억원, △지역공동체·공공근로·노인일자리 등 32개 사업에 640억원을 편성하여 고용 안전망을 확충하고 자생적 지역경제 생태계 조성을 지원한다.

 

둘째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으로 누구도 소외받지 않는 창원형 모듬복지 실현을 위한 투자를 강화한다.

 

따라서 △기초연금, 경로당 운영지원 등 노인복지사업으로 4977억원, △장애인연금, 장애인활동지원 등 장애인복지사업 1624억원, △영유아보육료, 가정양육수당 등 보육지원 2630억원을 반영했다. 또, △학교급식비 지원 300억원, △북면1고 건립지원(가칭) 등 학교 교육경비 지원 130억원 등도 반영됐다.

셋째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과 미래대비 주력산업 경쟁력 제고 및 신산업 육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재원을 투입한다.

 

△창원국가산업단지 확장사업 300억원, △수소산업 부품 개발지원, 수소충전소 운영 등 수소산업육성에 84억원, △원자력산업 및 방위산업 육성 50억원, △의료바이오, 모빌리티, 우주항공 등 미래 신산업 육성에 21억원 등을 편성했다.

 

넷째 주민 생활 밀착형 안전‧건강 증진 및 기후변화·환경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안민지구) 정비사업 40억원, △신포지구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사업 22억원, △재난관리기금 전출 76억원 △ 예방접종 사업비 176억원을 투입했다. 또한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지원사업 180억원, △소규모 사업장 대기오염 방지시설 설치사업 18억원, △전기자동차 구매지원사업 90억원을 편성하여 안전한 일상 확산 및 녹색산업 기반조성을 위한 투자를 강화했다.

 

마지막으로 편리한 생활 인프라를 구축하고, 도시품격 및 문화예술도시 브랜드 향상을 위해 △사파지구 도시개발사업 150억원, △석전동 근주어울림센터 조성 등 도시재생 뉴딜 사업 170억원, △원이대로 S-BRT 구축사업 221억원, △창동예술촌·부림공예촌 지원 등 문화예술지원 사업비 40억원, △진해문화센터·도서관 건립 74억원, △창원시립미술관 건립 10억원 등도 예산안에 편성됐다.

 

이번에 제출한 2023년도 창원시 예산안은 25일부터 열리는 제120회 창원시의회(제2차 정례회)의 심의 및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홍남표 시장은 “시정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침체에 빠진 창원을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해 전략적으로 예산을 편성했다”며 “특히, 내년에는 산업·문화·복지 등 전 분야에 걸쳐 왜 창원인가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을 통해 시민 모두가 실질적인 변화를 체감하는 창원특례시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kjo571003.naver.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정옥 기자

kjo571003@naver.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