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익룡발자국 화석, ‘가냘프고 아름다운 익룡 발자국’ 불려
연구 논문, 국제학술지 ‘백악기 연구’에 올라

[서울경제TV 진주=이은상 기자] 2010년 경남 진주시에서 발견된 중생대 백악기 소형 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된지 10여 년 만에 학계로부터 공식적인 이름을 갖게 됐다.
이 화석에 관한 연구 논문이 최근 국제학술지인 ‘백악기 연구(Cretaceous Research)’에 게재되면서다.
‘테라이크누스 그라실리스(Pteraichnus gracilis)’로 명명된 이 화석은 ‘가냘프고 아름다운 익룡 발자국’이라는 뜻을 지녔다.
이 화석의 이름은 해당 논문의 공동저자인 하수진(부산대학교 박사과정) 씨가 붙였다. 논문이 국제 학술지에 오르면서 화석의 이름이 공식적인 학술명을 갖게 된 것이다.
이번 연구 논문은 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충무공동 화석산지에서 출토된 백악기 발자국 화석에 관한 논문 중 9번째로 국제학술지에 올랐다.
가장 오래된 개구리 발자국, 가장 큰 도마뱀 발자국, 동북아시아 최초의 악어 발자국, 육식 공룡 발자국 화석 등에 관한 연구 논문이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논문의 공동저자인 김경수 진주교대 교수는 “국내에서 학술명을 가진 익룡 발자국 화석은 이 화석을 비롯해 해남 우항리와 하동 수문리에서 발견된 화석 등 모두 3개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진주에서 발견된 소형 익룡 발자국 화석은크기가 매우 작아 희소성이 크고, 지금까지 발견된 익룡 발자국 화석 중에 보존상태가 가장 좋은 특징을 지닌다”고 설명했다.
국제 공동 연구로 진행된 이번 연구에는 한국과 미국 연구진이 참여했다.
한국에서는 하수진 씨, 김경수 교수, 임현수 부산대 교수, 임종덕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장, 유재상 거제 수월초등학교 교사 등이, 미국에서는 마틴 로클리 콜로라도 대학 교수가 함께했다.

소형 익룡발자국 화석.
‘테라이크누스 그라실리스' 화석은 참새 발자국처럼 크기가 매우 작다. 평균 길이는 앞 발자국이 2.7cm, 뒷 발자국이 2.8cm에 불과하다.
해당 화석은 타지역에서 발견된 소형 익룡 발자국과 비교해 앞 발자국에서 뒤쪽을 향하는 세 번째 발가락의 길이가 더 길고, 좁다는 특징을 가진다.
발자국 길이가 5cm 미만의 소형 익룡 발자국 화석은 희귀하다. 현재까지 한국, 일본, 스페인 등 몇몇 중생대 퇴적층에서만 발견된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이 화석은 1억 700만 년 중생대 백악기의 것이다. 2010년 진주혁신도시 조성공사 과정에서 출토됐다. 화석은 해당 부지 위에 지어진 진주익룡발자국 전시관에 보관돼 있다.
한편 진주 충무공동 화석산지에서는 익룡 발자국 화석 2,500여 점이 출토됐다. 익룡 발자국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dandibodo@seadaily.com/

진주 익룡발자국 화석.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부산시, 2025년 1분기 재정집행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돼
- 경북테크노파크, 안동지역의 헴프산업 육성 위한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 경산특수교육지원센터, 초·중·고등학생 대상 진로·직업 체험 프로그램 운영
- 대구광역시, 1분기 신속집행 전국 1위 달성. . .재정 인센티브 총 6억 원 확보
- 경북도, 산불 피해지역 회복과 관광활성화 위한 관광전략 본격 시동
- 경북도, 도립미술관 건립 본격화...문체부 평가 통과
- 경북도, 쇼핑 축제‘경북세일페스타’로 5월 물들인다
- 김한종 장성군수 "가로수 관리로 미세먼지 저감·탄소중립 실천"
- 명현관 해남군수 “첨단산업·농어업 공존 잘사는 해남”
- 고창 심원 하전 어촌체험마을서 3일간 '바지락 축제' 열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산시, 2025년 1분기 재정집행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돼
- 2경북테크노파크, 안동지역의 헴프산업 육성 위한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 3경산특수교육지원센터, 초·중·고등학생 대상 진로·직업 체험 프로그램 운영
- 4대구광역시, 1분기 신속집행 전국 1위 달성. . .재정 인센티브 총 6억 원 확보
- 5경북도, 산불 피해지역 회복과 관광활성화 위한 관광전략 본격 시동
- 6경북도, 도립미술관 건립 본격화...문체부 평가 통과
- 7경북도, 쇼핑 축제‘경북세일페스타’로 5월 물들인다
- 8김한종 장성군수 "가로수 관리로 미세먼지 저감·탄소중립 실천"
- 9명현관 해남군수 “첨단산업·농어업 공존 잘사는 해남”
- 10고창 심원 하전 어촌체험마을서 3일간 '바지락 축제' 열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