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 자율주행 AI 데이터 기술 개발 공로 '과기부장관상'

경제·산업 입력 2025-04-09 14:20:58 수정 2025-04-09 14:20:58 이수빈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AI 학습용 데이터 공개로 기술 혁신 앞당겨”

지난 4일 일산킨텍스에서 열린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1단계 성과공유회에서 홍승환(오른쪽) 카카오모빌리티 책임연구원이 수상 후 송창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바이스AX혁신팀장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카카오모빌리티]
[서울경제TV=이수빈 기자]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4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1단계 성과공유회에서 인공지능(AI) 연구개발팀 홍승환 책임연구원이 ‘자율주행 인공지능 데이터 기술 개발·표준화·공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로 과기정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9일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레벨 4 자율주행 구현을 위한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및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KADIF)의 자율주행 지능학습 데이터 수집·가공 핵심기술 개발 사업에 참여해 고도화된 자율주행용 AI 학습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생성・관리・배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특히 지난 2월, 사업의 일환으로 구축한 ‘자율주행 AI 학습용 데이터셋’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AI 나눔’ 플랫폼에 무료로 공개해 국내 자율주행 연구개발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해왔다. 

해당 데이터셋은 국내 도로환경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람, 차량, 자전거 등 움직이는 3D 동적 객체와 신호등, 표지판 등 2D 정적 객체를 인지・판단할 수 있는 총 15만 건(프레임) 이상의 AI 학습 데이터로 구성돼, 국내 환경에 적합한 자율주행 AI 모델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그동안 고품질의 AI 학습용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요해야 했던 국내 스타트업과 학계는 저작권 문제 없이 공개된 데이터셋을 자유롭게 자율주행 연구개발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8월 해당 데이터셋 일부를 활용해 과기정통부 주최 경진대회인 ‘제1회 자율주행 인공지능 챌린지’를 개최한 바 있다. 연구자, 개발자, 학생, 스타트업 등 총 279개 팀이 참가해 실도로 주행 데이터를 활용하고 자율주행 기술을 실제로 구현하는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기술의 저변을 넓히고 생태계 전반의 역량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은 "융합형 자율주행 학습 데이터 공개로 국내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와 미래 모빌리티 산업 발전에 기여한 것에 대해 뜻깊게 생각한다”며 “국내 대표 모빌리티 플랫폼으로서 자율주행이 우리의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잡을 수 있도록 관련 기술 개발과 생태계 조성을 위해 앞장서 나갈 계획” 이라고 밝혔다. 

한편 카카오모빌리티는 국내 선도 자율주행 업체들과 협업해 강남・세종・판교・서울・대구・제주 등 다양한 지역에서 여러 유형의 자율주행 서비스의 실증 경험을 다져온 바 있다. 특히 지난해 9월 서울 자율주행자동차 운송플랫폼 민간사업자에 선정돼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자율주행 대시민 서비스 일체를 카카오 T 앱에서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데이터 기반 서비스 설계 노하우, 안정적인 자율주행 실증 경험, 풍부한 운영관리 인프라 역량을 토대로 자율주행 기술 발전과 서비스 상용화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