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머 표심 잡아라”…조기 대선에 ‘게임 공약’ 분주

경제·산업 입력 2025-04-09 19:03:39 수정 2025-04-09 19:03:39 이수빈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게이머 표심 잡아라”…조기 대선에 ‘게임 공약’ 분주


[앵커]
앞당겨진 대선 시계에 발맞춰 정치권은 게임 공약 경쟁에 나서고 있습니다. 청년 세대가 선거 결과를 좌우할 캐스팅보트로 떠오르자 게임 인구 표심 공략에 들어간 건데요. 다만 업계에선 정치권이 표심 잡기에만 집중해 게임 산업 진흥에는 무관심하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수빈 기잡니다.

[기자]
조기 대선 국면에 접어들며 게임 산업이 주요 정책 아젠다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030 청년 세대가 선거 판세를 가를 캐스팅보트로 떠오르며 정치권은 앞 다퉈 게임 인구 표심 공략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달 7일 게임특별위원회를 출범시켰습니다.
민주당은 이 위원회를 통해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등재 저지, e스포츠 생태계 조성을 포함한 4대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조기 대선 가능성이 점쳐지자 민주당이 한발 앞서 본격적인 게이머 표심 잡기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확률형 아이템에 관한 논란이 거세지자 여야를 막론하고 이른바 ‘게임법’에 대한 개정안 발의도 활발한 모습입니다.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은 확률형 아이템 피해에 대해 게임사가 손해배상을 책임지도록 하는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습니다.
야권에서는 김병기 민주당 의원이 확률형 아이템 사용 이력을 게임사가 의무 공개하도록 하는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상태입니다. 

정치권이 게이머 표심 잡기에 열을 올리는 건 2030 청년층이 대선 결과를 좌우할 격전지가 됐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지난 20대 대선에서도 양당 모두 게임 관련 공약을 경쟁적으로 발표한 바 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당시 확률형 아이템 정보 완전 공개와 청소년 셧다운제 완전 폐지 등을, 이재명 당시 후보 역시 확률형 아이템 정보 공개 의무화와 게임 질병코드 도입 반대 등을 공약으로 내건 바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이번 조기대선에서도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입니다. 

다만 업계에선 정치권이 표심 잡기에만 집중해 이용자 보호에만 초점을 맞춘 나머지 게임 산업 진흥 정책은 등한시하고 있다는 불만도 나옵니다.

이용자 보호 뿐 아니라 미래 먹거리인 게임 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 마련에도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서울경제TV 이수빈입니다. /q00006@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