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에어버스 납기 지연에…국내 항공사 ‘비상’
경제·산업
입력 2024-12-12 17:05:47
수정 2024-12-12 18:03:35
김효진 기자
0개

[앵커]
글로벌 양대 항공기 제작사인 유럽 에어버스와 미국 보잉이 파업 등의 영향으로 항공기 제작이 지연돼 납기를 늦추고 있습니다. 기단 확대에 나선 국내 항공업계는 소비자 신뢰하락으로 이어질까 발을 구르고 있는데요.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글로벌 항공기 생산 ‘투톱’인 보잉과 에어버스의 생산 지연 사태에 국내 항공사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국내 항공사들은 새 항공기를 도입하는 등 기단을 확대하는 추세.
특히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으로 국내 항공업계 전반에 지각변동이 일어나며 기단 도입 시점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보잉은 7주간의 파업을 마치고 지난 6일 737 맥스 생산라인을 한 달 만에 재가동했습니다. 파업 영향으로 보잉의 월 항공기 생산량은 기존 38대에서 9대로 급감했습니다.
보잉은 이에 더해 잇따른 항공기 사고로 곤욕을 치르고 있습니다.
켈리 오토버그 보잉 CEO는 “내분과 책임회피 문화 등으로 보잉이 현재 최악의 위기를 맞았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에어버스는 수주 물량이 급증하며 납기 지연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10월 기준 에어버스 수주 잔고는 8,749대인데, 엔진 공급 지연 등 공급망 문제로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에어버스는 올해 항공기 생산 목표를 800대에서 770대로 하향 조정하기도 했습니다.
에어버스의 납기 지연으로 대한항공은 11월 말 예정이었던 A350-900 1호기 도입이 늦어지고 있습니다.
저비용항공사(LCC)들도 노선을 늘리며 기단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
특히 장거리를 운항하는 티웨이항공과 에어프레미아는 여유 기재가 부족해 항공기 스케줄이 빡빡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여유 기재 부족은 항공편 지연을 초래해 소비자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국내 항공사들은 보잉과 에어버스의 생산 상황을 지켜보며 리스 계약 연장이나 운용 계획 수정 등으로 대응하는 모습입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주유소 기름값 11주 연속 내려…“다음 주도 하락세 지속”
- “최장 6일”…여행·면세업계, 5월 황금연휴 특수 노린다
- 中 BYD, 안방 모터쇼서 신차 대거 출품…“보급형부터 슈퍼카까지”
- LG전자 조주완 “美 관세 효과 2분기 본격화”
- ‘中 아마존’ 징둥 국내 진출…토종 이커머스 ‘긴장’
- HD한국조선해양, 1분기 ‘깜짝 실적’…전망도 ‘활짝’
- “홍삼, 근감소증 줄이고 알츠하이머 증상 개선”
- 기아, 1분기 매출 28兆 ‘신기록’…“2분기도 자신”
- ‘해킹 사고’ SKT, 대국민 사과…“유심 무상교체”
- [위클리비즈] “어렸을 적 나로”…카뱅, AI로 '내 안의 어린이 찾기'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주유소 기름값 11주 연속 내려…“다음 주도 하락세 지속”
- 2'리딩금융' KB, '리딩뱅크' 신한銀 품으로…4대 지주 5조 육박 순익
- 3“최장 6일”…여행·면세업계, 5월 황금연휴 특수 노린다
- 4"국장 탈출은 지능순?"…올해 코스피 6% 올랐다
- 5'KB·롯데' 카드사 본인확인서비스 잇달아 중단, 왜?
- 6中 BYD, 안방 모터쇼서 신차 대거 출품…“보급형부터 슈퍼카까지”
- 7고창군, '고창갯벌 세계유산 지역센터 건립' 설계 용역 보고회
- 8고창군, 제131주년 동학농민혁명 무장기포기념제 개최
- 9경북테크노파크, 2025년 경북지역 기업지원 통합설명회 성황리 마무리
- 10대구행복진흥원, 제11기 꿈드림 청소년단 위촉식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