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하는 기업 대출 연체율…경고등 들어온 건전성

[앵커]
현재 금융 시장에서 가계 대출 뿐 아니라 기업 대출도 위험 요인입니다. 규모가 늘어난 것 뿐만 아니라 연체율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어제(15일) 76조원 기업 금융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업 재무 안정성도 우려스러운 상황에서 정부의 이번 지원 정책이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급증하는 가계 대출을 줄이기 위해 제동을 걸면서, 시중 은행들은 기업 대출로 눈을 돌렸습니다.
가계 대출이 쉽지 않은 은행과 고금리, 고물가, 저성장 늪에 빠진 기업의 필요가 맞물리면서 기업 대출 규모는 빠르게 늘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4대 시중은행 국민·신한·하나·우리의 기업 대출은 640조원, 전년 대비 9%나 늘었습니다.
주요 은행별 기업 대출 규모를 보면 국민 175조1,573억원, 하나 162조46억원, 신한 160조6,834억원, 우리 142조5,460억원입니다. 금융기관 전체 기업 대출 규모 역시 전년 대비 증가했습니다.
일반 은행의 기업 대출 규모는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1,832조원으로 전년 대비 6.3% 증가했고, 저축은행, 상호금융, 보험회사 등 비은행 역시 591조원으로 전년 대비 5.6% 늘었습니다. 문제는 기업 대출 연체율입니다.
한국은행 보고서 내 기업 대출 연체율을 보면, 지난해 3분기 연체율은 1분기 대비 은행, 비은행 모두 상승했습니다. 특히 비은행 연체율은 4.23%로 급격한 상승폭을 보입니다.
여기에 중소기업 연체율 0.55%로 대기업 연체율 0.19%보다 배 이상 차이가 납니다.
기업 대출 연체율 상승은 기업의 재무 안정성 뿐 아니라 금융사의 건전성을 심각하게 훼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언제나 금융 시장의 큰 위험 요인이 돼왔습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어제(15일) 76조원 규모의 맞춤형 기업 금융 지원 방안을 발표하며, 기업 부양에 나섰습니다.
중견, 중소기업 대상 회사채 발행 지원과 저리 대출 프로그램 운영, 중견기업전용펀드 출시, 가산 금리 면제 등 지원책을 통한 자금 조달 통로를 만들겠다는 계획인데, 금융권이 기업 지원과 연체율 관리 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B국민은행, 청소년 맞춤 멘토링 ‘KB라스쿨’ 발대식 개최
- 우리은행, 원티드랩과 외국인 구인·구직 서비스 강화 업무협약
- BNK부산은행, 백혈병 소아암 어린이 돕기 ‘사랑나눔 걷기대회’ 후원
- 하나은행, 군인 전용 비대면 대출 ‘하나원큐신용대출’ 출시
- 한국투자증권, 여의도에 초대형 디지털 사이니지 ‘키스 스퀘어’ 구축
- 와이즈에이아이, 에이유·덴트온 등 AI 직원 도입처 300곳 돌파
- 케이지에이-삼성스팩9호, 합병 확정…6월 18일 코스닥 상장
- 비에이치아이, 필리핀서 5200억원 규모 CFBC 보일러 수주
- 우리카드, '2025년 고객패널 발대식' 개최
- BC카드, 다날과 결제 인프라 협력…선불카드 사업 확장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금호타이어, 지역 취업준비생 '취업 트렌드' 정보 공유..."뜨거운 호응"
- 2한화오션, 부유식 도크·해상 크레인 신규 도입
- 3동아쏘시오그룹, 디지털 혁신 가속화를 위한 ‘동지니AI’ 도입
- 4광주 북구, 영남지역 산불피해 복구 성금 1억 원 전달
- 5오미화 의원, '민주화운동 명예수당' 추진...6월부터 6만 원 지급
- 6지역균형발전과 경쟁입시체제 완화를 위한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 토론회
- 7포스코, 슬래그시멘트로 콘크리트 산업 생태계 전략적 협력 이끈다
- 8뉴트리케어, 강원도 횡성 인근에 첨단 제1신공장 완공
- 9광주 북구의원 개정 조례안, 해당 상임위 통과..."주민 신뢰 제고" 기대
- 10공영민 고흥군수 "기부로 인해 출산 장려 분위기 확산에 큰 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