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 ‘항만크레인의 손 – 스프레더’국산화 개발 완료
중기부 R&D과제 수행, 작업능률 향상 및 안전성 강화에 기여

[서울경제TV 부산=김정옥 기자] 부산항만공사(BPA)는 항만용 크레인이 컨테이너화물을 들고 내릴 때 사용하는 스프레더의 국산화 기술 개발사업을 완료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기술은 중소벤처기업부의 민관공동기술개발사업 공동투자형 과제로 2020년 11월부터 2년 간 총 11억원의 사업비가 투자됐다.
하역설비 전문기업인 한미테크윈과 선박․항만기술 전문기업인 케이알엔지니어링이 참여했다.
스프레더는 컨테이너크레인, 트랜스퍼크레인, 셔틀캐리어 등 컨테이너화물 양․적하 작업에 필수적인 장치다.
국내에는 해당 기술과 제작기업이 없어 유럽, 싱가포르 등 해외제품을 현장에 도입해 운용하고 있다.
특히 스프레더는 고중량화물의 처리와 하역작업 시 충격 등으로 수리 및 부품 교체 등 유지보수가 빈번하게 발생해 해외 기술진의 입국 지연이나 부품납기 장기화 등으로 장비운용률을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번 국내기술로 개발된 스프레더는 이러한 문제점은 보완하고 나아가 충격완화에 뛰어난 탄성소재의 우레탄 적용으로 플리퍼의 파손 최소화 및 정비 공간을 확보한 구조설계로 작업자의 안전성까지 강화했다.
플리퍼는 스프레더가 컨테이너를 잡을 때 위치를 잡아주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또 기존에 별도로 관리되던 사용자매뉴얼, 장비도면 등을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니터에서 한눈에 확인하는 통합모니터링시스템을 개발해 장비운영 및 정비에 편의성을 제공한다.
BPA는 스프레더를 실제 운영 중인 항만터미널의 크레인에 장착해 실증했다.
또 다른 R&D사업인‘ITT 스테이션 양적하 시스템’에도 장착, 다른 하역장비와의 호환성 등을 추가 검증할 계획이다.
강준석 BPA 사장은 ‘국내 기술력으로 확보한 항만하역장비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가격 및 기술경쟁력에 밀려 외국산 제품에 잠식된 국내 항만장비 생태계를 재건하고 세계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kjo571003.naver.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