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한 기업대출...부실위험도 ↑

[서울경제TV=김미현기자]
[앵커]
올해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은 주춤한 반면 기업대출은 가파르게 늘었습니다. 회사채 시장이 얼어붙으며 은행 문을 두드리는 기업들이 급증한 건데요.
문제는 가파른 금리 인상에 기업들의 이자 부담이 높아지면서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김미현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말 기준 5대 시중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703조7,512억원으로 한 달 동안에만 9조원가량 늘었습니다.
지난해 말과 비교해 65조1,000억원 늘면서 사상 처음 700조원을 넘어섰습니다.
같은기간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693조8,816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4조원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대조적입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정부의 가계부채 억제 정책으로 은행들이 기업대출 비중을 크게 늘린 영향이 컸습니다.
여기에 최근 채권 시장이 얼어붙고 자금조달 통로가 막히면서 대기업들까지 은행 문을 두드린 것도 대출 증가를 부채질했습니다.
문제는 고금리·고물가·경기 둔화로 기업의 상환 여건이 악화되면서 기업대출의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한 곳에 거액이 집중되는 기업대출은 가계대출보다 부실에 대한 파장이 더 클 수밖에 없습니다.
여기에 금리인상이 겹치면서 중소기업의 이자 부담은 급격히 커지는 상황.
지난달 말 은행의 중소기업 담보대출 평균금리는 5.3%, 신용대출 금리는 8%에 육박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관련 부실이 금융시스템 전체로 파급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일시적인 경영상황으로 금융비용 부담이 큰 중소기업에는 시기적절한 금융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싱크] 임채운 /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명예교수
“갑자기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라든가 공급망 발생 때문에 이런 건 시간이 문제기 때문에 언젠간 해결이 될 텐데 지금 그런 어려운 시기에 중소기업이 고비를 잘 넘기도록 좀 더 적극적인 금융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기업대출이 우리 경제를 흔들 또 다른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철저한 리스크 관리 역시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미현입니다. /kmh23@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B국민은행, 청소년 맞춤 멘토링 ‘KB라스쿨’ 발대식 개최
- 우리은행, 원티드랩과 외국인 구인·구직 서비스 강화 업무협약
- BNK부산은행, 백혈병 소아암 어린이 돕기 ‘사랑나눔 걷기대회’ 후원
- 하나은행, 군인 전용 비대면 대출 ‘하나원큐신용대출’ 출시
- 한국투자증권, 여의도에 초대형 디지털 사이니지 ‘키스 스퀘어’ 구축
- 와이즈에이아이, 에이유·덴트온 등 AI 직원 도입처 300곳 돌파
- 케이지에이-삼성스팩9호, 합병 확정…6월 18일 코스닥 상장
- 비에이치아이, 필리핀서 5200억원 규모 CFBC 보일러 수주
- 우리카드, '2025년 고객패널 발대식' 개최
- BC카드, 다날과 결제 인프라 협력…선불카드 사업 확장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금호타이어, 지역 취업준비생 '취업 트렌드' 정보 공유..."뜨거운 호응"
- 2한화오션, 부유식 도크·해상 크레인 신규 도입
- 3동아쏘시오그룹, 디지털 혁신 가속화를 위한 ‘동지니AI’ 도입
- 4광주 북구, 영남지역 산불피해 복구 성금 1억 원 전달
- 5오미화 의원, '민주화운동 명예수당' 추진...6월부터 6만 원 지급
- 6지역균형발전과 경쟁입시체제 완화를 위한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 토론회
- 7포스코, 슬래그시멘트로 콘크리트 산업 생태계 전략적 협력 이끈다
- 8뉴트리케어, 강원도 횡성 인근에 첨단 제1신공장 완공
- 9광주 북구의원 개정 조례안, 해당 상임위 통과..."주민 신뢰 제고" 기대
- 10공영민 고흥군수 "기부로 인해 출산 장려 분위기 확산에 큰 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