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ETF ‘여행·레저’ 강세…“유가 변동성 높아 경기 방어 섹터 유효”
증권·금융
입력 2022-05-01 09:00:00
수정 2022-05-01 09:00:00
윤혜림 기자
0개

[서울경제TV=윤혜림기자] 지난주 글로벌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증시가 약세를 보이자 대형주 ETF 위주로 자금이 빠져나간 반면, 국채와 금리 ETF에는 자금이 유입이 지속됐다.
한편, 국내 ETF시장에서는 코로나19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방침 등에 영향을 받아 여행과 레저 ETF에 자금이 유입됐다.
이번 주 국내 시장에서는 최근 확산된 인플레이션 우려, 중국 도시 봉쇄 등으로 뉴욕증시가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이자 중국 등 신흥국 관련 펀드가 수익률 상위권을 차지했다. △KBSTAR 차이나항셍테크(+12.36%) △TIGER 차이나항셍테크(+11.63%) △KINDEX 차이나항셍테크(+11.60%) 순으로 이름을 올렸다.
반면, 수익률 하위권에는 △ARIRANG 글로벌수소&차세대연료전지MV(-9.33%) △KODEX 은행(-7.76%)이 하락률 1, 2위를 기록했다.
투자자별로 개인은 3,984억원, 외국인은 416억원 매수했으며, 기관은 4,824억원 매도했다.
박은석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유가가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고 변동성도 확대됐다”며 “유가 변동성이 하락할 때까지는 유틸리티를 제외한 경기 방어 섹터로 대응하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고 조언했다./grace_r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통신3사 주가 '희비'…KT·LG, 반사익 기대에 '신고가'
- 삼성카드 VS 신한카드, 업계 1위 '엎치락뒤치락'
- 카카오뱅크 앱에서도 '은행별 주담대 비교' 가능해진다
- 역대급 실적에도…금융지주, 침체기 방어 전략 '분주'
- 농협 1분기 경영분석회의…강호동 회장 "올해 손익목표 달성해달라"
- iM금융 1분기 순익 전년比 38% 증가한 1543억원…부동산PF 부담 덜어
- KB국민은행, 친환경 실천 ‘다함께 플로깅’ 행사 진행
- 코스피 2540대 강보합 마감…코스닥 1.4% 하락
- KB국민은행, 청소년 맞춤 멘토링 ‘KB라스쿨’ 발대식 개최
- 우리은행, 원티드랩과 외국인 구인·구직 서비스 강화 업무협약
댓글
(0)